2021년 5월 27일 목요일

유희삼매: 遊戱三昧

유희삼매 (遊戱三昧) : 놀며 장난하며 삼매경에 빠진다는 뜻으로, 딴 정신이 없이 노는 데만 몰두함을 이르는 말.



遊戱三昧 한자 뜻 풀이

  • 遊(놀 유) : 놀다, 놀이, 협기(俠 氣), 헤엄치다, 뜨다. 辵(착)을 더해 즐겁게 지내면서 '논다'는 의미를 강조함. 斿(유)는 발음
  • 戱(놀 희) : 戲의 俗字. 본래 '戈(과)'의 의미에서 군사의 훈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인해 동작이나 '놀이'의 의미가 파생됨
  • 三(석 삼) : 석, 자주, 세, 거듭, 셋. 가로 그은 획 세 개로 '셋'이라는 상징의 표현을 함
  • 昧(어두울 매) : 어둡다, 새벽, 탐하다, 찢다, 무릅쓰다. 동이 틀 무렵인 '새벽'의 의미에서, '어둡다', '어리석다' 등의 의미 파생


[三] 석 삼 (석, 자주, 세, 거듭, 셋)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삼익우 획순 이미지 삼익우(三益友) : 사귀어서 자기에게 도움이 되는 세 가지의 벗. 심성이 곧은 사람과 믿음직한 사람, 문견이 많은 사람을 이른다. [ (: 석 삼) (: 더할 익) (: 벗 우) ]
  • 삼분정족(三分鼎足) : 셋으로 나뉜 것이 솥의 발 같다는 뜻으로, 솥발처럼 삼자(三者) 천하를 삼분(三分)하고 있다는 의미. [ (: 석 삼) (: 나눌 분) (: 솥 정) (: 발 족) ]
  • 삼수갑산(三水甲山) : 우리나라에서 가장 험한 산골이라 이르던 삼수와 갑산. 조선 시대에 귀양지의 하나였다. [ (: 석 삼) (: 물 수) (: 갑옷 갑) (: 메 산) ]
  • 삼시도하(三豕渡河) : 글자를 오독(誤讀)하거나 오용(誤用)함을 이르는 말. '기해'를 '삼시(三豕)'로, '섭하(涉河)'를 '도하'로 잘못 읽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 석 삼) (: 돼지 시) (: 건널 도) (: 강 이름 하) ]
  • 재삼재사(再三再四) : 여러 번 되풀이하여. [ (: 두 재) (: 석 삼) (: 두 재) (: 넉 사) ]

[戱] 놀 희 (戲의 俗字)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봉장작희 획순 이미지 봉장작희(逢場作戱) : 공터를 만나자 놀이를 한다는 뜻으로, 아무데서나 유희(遊戱)를 행하듯이 임기응변(臨機應變)의 조치를 취하거나 미봉책(彌縫策)을 쓴다는 의미. [ (: 만날 봉) (: 마당 장) (: 지을 작) (: 놀 희) ]
  • 마희(魔戱) : 귀신(鬼神)의 장난이라는 뜻으로, 일의 진행(進行)에서 나타나는 뜻밖의 해살을 이르는 말. [ (: 마귀 마) (: 놀 희) ]
  • 희채오친(戱綵娛親) : 일부러 채색 옷을 입고 어버이를 기쁘게 해드린다는 뜻으로, 노래자(老萊子)가 일흔 살에 어버이 앞에서 무색옷을 입고 재롱을 부렸다는 고사에서, 어버이의 마음을 즐겁게 하는 일. [= 彩衣娛親 (채의오친)]. [ (: 놀 희) (: 비단 채) (: 즐길 오) (: 친할 친) ]

[昧] 어두울 매 (어둡다, 새벽, 탐하다, 찢다, 무릅쓰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측수심매인심 획순 이미지 측수심매인심(測水深昧人心) : 물 속 깊이는 알아도 사람의 마음속은 모른다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사람의 마음은 헤아리기가 어렵다는 말. [ (: 잴 측) (: 물 수) (: 깊을 심) (: 어두울 매) (: 사람 인) (: 마음 심) ]
  • 애매모호(曖昧模糊) : 말이나 태도 따위가 희미하고 흐려 분명하지 아니함. [ (: 가릴 애) (: 어두울 매) (: 본뜰 모) (: 풀 호) ]
  • 유희삼매(遊戱三昧) : 놀며 장난하며 삼매경에 빠진다는 뜻으로, 딴 정신이 없이 노는 데만 몰두함을 이르는 말. [ (: 놀 유) (: 놀 희) (: 석 삼) (: 어두울 매) ]
  • 독서삼매(讀書三昧) : 다른 생각은 전혀 아니 하고 오직 책 읽기에만 골몰하는 경지. [ (: 읽을 독) (: 글 서) (: 석 삼) (: 어두울 매) ]
  • 토매인우(土昧人遇) : 야만인 대우. [ (: 흙 토) (: 어두울 매) (: 사람 인) (: 만날 우) ]

[遊] 놀 유 (놀다, 놀이, 협기(俠 氣), 헤엄치다, 뜨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와유강산 획순 이미지 와유강산(臥遊江山) : 누워서 강산을 노닌다는 뜻으로, 산수화를 보며 즐김을 이르는 말. [ (: 누울 와) (: 놀 유) (: 강 강) (: 메 산) ]
  • 유희삼매(遊戱三昧) : 놀며 장난하며 삼매경에 빠진다는 뜻으로, 딴 정신이 없이 노는 데만 몰두함을 이르는 말. [ (: 놀 유) (: 놀 희) (: 석 삼) (: 어두울 매) ]
  • 어유부중(魚遊釜中) : 물고기가 솥 안에서 논다는 뜻으로, 지금은 살아 있기는 하여도 생명이 얼마 남지 아니하였음을 이르는 말. [ (: 고기 어) (: 놀 유) (: 가마 부) (: 가운데 중) ]
  • 삼일유가(三日遊街) : 과거에 급제한 사람이 사흘 동안 시험관과 선배 급제자와 친척을 방문하던 일. [ (: 석 삼) (: 날 일) (: 놀 유) (: 거리 가) ]
  • 장수유식(藏修遊息) : 학문(學問)을 전심으로 닦음. 공부(工夫)할 때는 물론 쉴 때에도 학문(學問)을 닦는 것을 항상(恒常) 마음에 둠. [ (: 감출 장) (: 닦을 수) (: 놀 유) (: 숨쉴 식) ]

[몰두]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야이계주 획순 이미지 야이계주(夜以繼晝) : 어떤 일에 몰두하여 조금도 쉴 사이 없이 밤낮을 가리지 아니함. [ (: 밤 야) (: 써 이) (: 이을 계) (: 낮 주) ]
  • 학업정진(學業精進) : 배우는 일에 정성(精誠)을 다해 몰두(沒頭)함. [ (: 배울 학) (: 업 업) (: 정미할 정) (: 나아갈 진) ]
  • 유희삼매(遊戱三昧) : 놀며 장난하며 삼매경에 빠진다는 뜻으로, 딴 정신이 없이 노는 데만 몰두함을 이르는 말. [ (: 놀 유) (: 놀 희) (: 석 삼) (: 어두울 매) ]
  • 몽매지간(夢寐之間) : 잠을 자며 꿈을 꾸는 동안. [ (: 꿈 몽) (: 잠잘 매) (: 갈 지) (: 틈 간) ]
  • 폐침망찬(廢寢忘餐) : 침식을 잊는다는 뜻으로, 일에 몰두함을 이르는 말. [ (: 폐할 폐) (: 잠잘 침) (: 잊을 망) (: 먹을 찬) ]

[장난]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수어혼수 획순 이미지 수어혼수(數魚混水) : 몇 마리의 물고기가 물을 흐린다는 뜻으로, 소수의 장난으로 인하여 다수가 해를 입음을 이르는 말. [ (: 셀 수) (: 고기 어) (: 섞을 혼) (: 물 수) ]
  • 마희(魔戱) : 귀신(鬼神)의 장난이라는 뜻으로, 일의 진행(進行)에서 나타나는 뜻밖의 해살을 이르는 말. [ (: 마귀 마) (: 놀 희) ]
  • 롱가성진(弄假成眞) : (1)장난삼아 한 것이 진심으로 한 것같이 됨. (2)'농가성진'의 북한어. [ (: 거짓 가) (: 이룰 성) (: 참 진) ]

[정신]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혼비중천 획순 이미지 혼비중천(魂飛中天) : (1)혼이 하늘의 한가운데에 떴다는 뜻으로, 정신없이 허둥거림을 이르는 말. (2)죽은 사람의 혼이 공중에 떠돌아다님. [ (: 넋 혼) (: 날 비) (: 가운데 중) (: 하늘 천) ]
  • 정신일도하사불성(精神一到何事不成) : 정신(精神)을 한 곳으로 하면 무슨 일인들 이루어지지 않으랴라는 뜻으로, 정신(精神)을 집중(集中)하여 노력(努力)하면 어떤 어려운 일이라도 성취(成就)할 수 있다는 말. [ (: 정미할 정) (: 신 신) (: 한 일) (: 이를 도) (: 어찌 하) (: 일 사) (: 아니 불) (: 이룰 성) ]
  • 평단지기(平旦之氣) : 새벽의 기운이라는 뜻으로, 새벽의 아직 다른 사물과 접촉하기 전의 맑은 정신을 이르는 말. [ (: 평평할 평) (: 아침 단) (: 갈 지) (: 기운 기) ]
  • 탁마(琢磨) : (1)옥이나 돌 따위를 쪼고 갊. (2)학문이나 덕행 따위를 닦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쫄 탁) (: 갈 마)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