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행삭질 (射幸數跌) : 요행(僥倖)을 노려 쏘는 화살은 번번이 차질(蹉跌)을 일으킨다는 뜻으로, 사행심(射倖心)으로 하는 행위는 성취하기 어려움을 비유하는 말.
射幸數跌 한자 뜻 풀이
- 射(쏠 사) : 쏘다, 맞히다, 벼슬 이름, 싫어하다, 쏘아서 명중시킴. 본래 오른쪽 모양이 '矢(시)'에서 '寸(촌)'으로 바뀐 것으로, 몸에서 화살이 나간다는 의미에서 활을 쏘는 법도의 의미까지 확대됨
- 幸(다행할 행) : 다행하다, 다행하게 하다, 사랑하다, 잠자리 시중을 들다, 혜택. 죄수들에게 끼는 형틀의 모양인데, 그것에서 벗어난다는 의미에서 '행복'이라는 의미 생성함
- 數(자주 삭) : 세다, 수, 자주, 촘촘하다, 빠르다. 여자가 상자 안의 물건을 따져본다는 의미에서 '세다'는 의미 생성. '수'의 의미로 확대됨
- 跌(넘어질 질) : 넘어지다, 넘다, 달리다, 방종하다, 잘못하다.
[射] 쏠 사 (쏘다, 맞히다, 벼슬 이름, 싫어하다, 쏘아서 명중시킴)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사행삭질(射幸數跌) : 요행(僥倖)을 노려 쏘는 화살은 번번이 차질(蹉跌)을 일으킨다는 뜻으로, 사행심(射倖心)으로 하는 행위는 성취하기 어려움을 비유하는 말. [ (射: 쏠 사) (幸: 다행할 행) (數: 자주 삭) (跌: 넘어질 질) ]
- 사석성호(射石成虎) : 성심(誠心)을 다하면 아니 될 일도 이룰 수 있다는 것. 돌을 범인 줄 알고 쏘았더니 화살이 꽂혔다는 말. [ (射: 쏠 사) (石: 돌 석) (成: 이룰 성) (虎: 범 호) ]
- 포사요환(布射僚丸) : 한(漢)나라 여포(呂布)는 화살을 잘 쐈고, 의료(宜遼)는 탄자(彈子)를 잘 던졌음. [ (布: 베 포) (射: 쏠 사) (丸: 알 환) ]
- 사공중곡(射空中鵠) : 무턱대고 쏜 화살이 과녁에 맞았다는 뜻으로, 멋모르고 한 일이 우연히 들어맞아 성공하였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射: 쏠 사) (空: 빌 공) (中: 가운데 중) (鵠: 고니 곡) ]
[幸] 다행할 행 (다행하다, 다행하게 하다, 사랑하다, 잠자리 시중을 들다, 혜택)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봉시불행(逢時不幸) : 공교롭게 아주 좋지 못한 때를 만남. [ (逢: 만날 봉) (時: 때 시) (不: 아니 불) (幸: 다행할 행) ]
- 백무일행(百無一幸) : 단 하나의 요행도 없음. [ (百: 일백 백) (無: 없을 무) (一: 한 일) (幸: 다행할 행) ]
- 다행다복(多幸多福) : 운이 좋고 복이 많음. [ (多: 많을 다) (幸: 다행할 행) (多: 많을 다) (福: 복 복) ]
- 사행삭질(射幸數跌) : 요행(僥倖)을 노려 쏘는 화살은 번번이 차질(蹉跌)을 일으킨다는 뜻으로, 사행심(射倖心)으로 하는 행위는 성취하기 어려움을 비유하는 말. [ (射: 쏠 사) (幸: 다행할 행) (數: 자주 삭) (跌: 넘어질 질) ]
- 만분다행(萬分多幸) : 뜻밖에 일이 잘되어 아주 다행함. [ (萬: 일만 만) (分: 나눌 분) (多: 많을 다) (幸: 다행할 행) ]
[數] 자주 삭 (세다, 수, 자주, 촘촘하다, 빠르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무수사례(無數謝禮) : 고맙다는 인사를 수없이 되풀이함. [ (無: 없을 무) (數: 셀 수) (謝: 사례할 사) (禮: 예도 례) ]
- 권모술수(權謀術數) : 목적 달성을 위하여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아니하는 온갖 모략이나 술책. [ (權: 저울추 권) (謀: 꾀할 모) (術: 꾀 술) (數: 셀 수) ]
- 파옥수간(破屋數間) : 부서진 집 몇 칸이라는 뜻으로, 허물어지고 협소(狹小)한 집을 의미하는 말. [ (破: 깨뜨릴 파) (屋: 집 옥) (數: 셀 수) (間: 틈 간) ]
[跌] 넘어질 질 (넘어지다, 넘다, 달리다, 방종하다, 잘못하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사행삭질(射幸數跌) : 요행(僥倖)을 노려 쏘는 화살은 번번이 차질(蹉跌)을 일으킨다는 뜻으로, 사행심(射倖心)으로 하는 행위는 성취하기 어려움을 비유하는 말. [ (射: 쏠 사) (幸: 다행할 행) (數: 자주 삭) (跌: 넘어질 질) ]
[일]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천방지방(天方地方) : 너무 급하여 허둥지둥 함부로 날뛰는 모양. [ (天: 하늘 천) (方: 모 방) (地: 땅 지) (方: 모 방) ]
- 가여낙성(可與樂成) : 더불어 성공을 즐길 수 있다는 뜻으로, 함께 일의 성공을 즐길 수 있음을 이르는 말. [ (可: 옳을 가) (與: 줄 여) (成: 이룰 성) ]
- 남우(濫竽) :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체하는 것이나 또는 실력이 없는 사람이 어떤 지위에 붙어 있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제(齊)나라 때에, 남곽이라는 사람이 생황을 불 줄 모르면서 악사(樂士)들 가운데에 끼어 있다가 한 사람씩 불게 하자 도망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竽: 피리 우) ]
- 희출망외(喜出望外) : 기대하지 아니하던 기쁜 일이 뜻밖에 생김. [ (喜: 기쁠 희) (出: 날 출) (望: 바랄 망) (外: 바깥 외) ]
- 감회(感懷) : 지난 일을 돌이켜 볼 때 느껴지는 회포. [ (感: 느낄 감) (懷: 품을 회) ]
[비유]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인귀상반(人鬼相半) : 반은 사람이고 반은 귀신이라는 뜻으로, 오랜 병이나 심한 고통으로 몹시 쇠약해져 뼈만 남아 있음을 이르는 말. [ (人: 사람 인) (鬼: 귀신 귀) (相: 서로 상) (半: 반 반) ]
- 풍목지비(風木之悲) : 효도를 다하지 못한 채 어버이를 여읜 자식의 슬픔을 이르는 말. [ (風: 바람 풍) (木: 나무 목) (之: 갈 지) (悲: 슬플 비) ]
- 할계우도(割鷄牛刀) : 닭 잡는데 소 잡는 칼이라는 뜻으로, 닭을 잡는 데 소를 잡는 칼을 쓸 필요가 없는 것처럼 조그만 일을 처리하는 데에 지나치게 큰 수단을 쓸 필요는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割鷄 焉用牛刀(할계 언용우도) <論語(논어)> ]. [ (割: 나눌 할) (鷄: 닭 계) (牛: 소 우) (刀: 칼 도) ]
- 거저척이(遽篨戚施) : 엎드릴 수도 없고, 위를 쳐다볼 수도 없는 병이란 뜻으로, 오만(傲慢)하고 아첨(阿諂)하는 사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거저(遽篨)는 새가슴, 척이(戚施)는 곱사등이. [ (遽: 갑자기 거) (篨: 대자리 저) (戚: 겨레 척) (施: 옮을 이) ]
- 설상가상(雪上加霜) : 눈 위에 서리가 덮인다는 뜻으로, 난처한 일이나 불행한 일이 잇따라 일어남을 이르는 말. [ (雪: 눈 설) (上: 위 상) (加: 더할 가) (霜: 서리 상) ]
[성취]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정신일도하사불성(精神一到何事不成) : 정신(精神)을 한 곳으로 하면 무슨 일인들 이루어지지 않으랴라는 뜻으로, 정신(精神)을 집중(集中)하여 노력(努力)하면 어떤 어려운 일이라도 성취(成就)할 수 있다는 말. [ (精: 정미할 정) (神: 신 신) (一: 한 일) (到: 이를 도) (何: 어찌 하) (事: 일 사) (不: 아니 불) (成: 이룰 성) ]
- 개물성무(開物成務) : 만물의 뜻을 깨달아 모든 일을 이룸. [ (開: 열 개) (物: 만물 물) (成: 이룰 성) (務: 힘쓸 무) ]
- 다기망양(多岐亡羊) : (1)갈림길이 많아 잃어버린 양을 찾지 못한다는 뜻으로, 두루 섭렵하기만 하고 전공하는 바가 없어 끝내 성취하지 못함을 이르는 말. ≪열자(列子)≫<설부(雪符)>에 나오는 말이다. (2)방침이 많아서 도리어 갈 바를 모름. [ (多: 많을 다) (岐: 갈림길 기) (亡: 잃을 망) (羊: 양 양) ]
- 도모시용(道謀是用) : 길에서 도모하기 때문이라는 뜻으로, 길가에 집을 짓는데, 길 가는 사람들에게 어떻게 짓는 것이 좋을까 상의하면 구구한 의견으로 제대로 완성할 수 없는 것처럼 주견(主見) 없이 남의 의견만 쫓으면 일을 성취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 作舍道傍(작사도방)]. [ (道: 길 도) (謀: 꾀할 모) (是: 옳을 시) (用: 쓸 용) ]
- 사행삭질(射幸數跌) : 요행(僥倖)을 노려 쏘는 화살은 번번이 차질(蹉跌)을 일으킨다는 뜻으로, 사행심(射倖心)으로 하는 행위는 성취하기 어려움을 비유하는 말. [ (射: 쏠 사) (幸: 다행할 행) (數: 자주 삭) (跌: 넘어질 질) ]
[요행]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백무일행(百無一幸) : 단 하나의 요행도 없음. [ (百: 일백 백) (無: 없을 무) (一: 한 일) (幸: 다행할 행) ]
- 사행삭질(射幸數跌) : 요행(僥倖)을 노려 쏘는 화살은 번번이 차질(蹉跌)을 일으킨다는 뜻으로, 사행심(射倖心)으로 하는 행위는 성취하기 어려움을 비유하는 말. [ (射: 쏠 사) (幸: 다행할 행) (數: 자주 삭) (跌: 넘어질 질) ]
- 고목생화(枯木生花) : (1)말라 죽은 나무에서 꽃이 핀다는 뜻으로, 곤궁한 처지에 빠졌던 사람이 행운을 만나서 잘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말라 죽은 나무에서 꽃이 핀다는 뜻으로, 늘그막에 아기를 낳거나 대가 끊길 지경에 대를 이을 아들을 낳음을 이르는 말. [ (枯: 마를 고) (木: 나무 목) (生: 날 생) (花: 꽃 화) ]
- 벌성지부(伐性之斧) : 인성(人性)을 베는 도끼라는 뜻으로, 여색에 빠지는 일을 이르는 말. [ (伐: 칠 벌) (性: 성품 성) (之: 갈 지) (斧: 도끼 부) ]
[행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모살미수(謀殺未遂) : 미리 꾀하여 사람을 죽이려다가 이루지 못하는 일. [ (謀: 꾀할 모) (殺: 죽일 살) (未: 아닐 미) (遂: 드디어 수) ]
- 사기종인(舍己從人) : 자기(自己)의 이전(以前) 행위(行爲)를 버리고 타인(他人)의 선행(善行)을 본떠 행(行)함. [ (舍: 둘 사) (己: 몸 기) (從: 좇을 종) (人: 사람 인) ]
- 한단학보(邯鄲學步) : 함부로 자기 본분을 버리고 남의 행위를 따라 하면 두 가지 모두 잃는다는 것을 이르는 말. 어떤 사람이 한단이란 도시에 가서 그곳의 걸음걸이를 배우려다 미처 배우지 못하고, 본래의 걸음걸이도 잊어버려 기어서 돌아왔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 (邯: 땅 이름 한) (鄲: 조나라 서울 단) (學: 배울 학) (步: 걸을 보) ]
- 가언선행(嘉言善行) : 좋은 말과 착한 행실을 아울러 이르는 말. [ (嘉: 아름다울 가) (言: 말씀 언) (善: 착할 선) (行: 갈 행) ]
- 자괴지심(自愧之心) : 스스로 부끄럽게 여기는 마음. [ (自: 스스로 자) (愧: 부끄러워할 괴) (之: 갈 지) (心: 마음 심) ]
[화살]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연시매최(年矢每催) : 화살같이 매양 재촉함. [ (矢: 화살 시) (每: 매양 매) (催: 재촉할 최) ]
- 양궁거시(揚弓擧矢) : 활과 화살을 높이 든다는 뜻으로, '승리'를 이르는 말. [ (揚: 오를 양) (弓: 활 궁) (擧: 들 거) (矢: 화살 시) ]
- 현상전(弦上箭) : 시위 위의 화살이라는 뜻으로, 활시위를 먹인 화살처럼 신속(迅速)함이나 한 번 가서 돌아오지 않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弦: 활시위 현) (上: 위 상) (箭: 화살 전) ]
- 경궁지조(驚弓之鳥) : 한 번 화살에 맞은 새는 구부러진 나무만 보아도 놀란다는 뜻으로, 한 번 혼이 난 일로 늘 의심과 두려운 마음을 품는 것을 이르는 말. [ (驚: 놀랄 경) (弓: 활 궁) (之: 갈 지) (鳥: 새 조) ]
- 일전쌍조(一箭雙雕) : 하나의 화살로 두 마리 수리를 잡는다는 뜻으로, 한 가지 일로 두 가지 이득을 얻는다는 의미. [ (一: 한 일) (箭: 화살 전) (雙: 쌍 쌍) (雕: 독수리 조) ]
[어려움]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난백난중(難伯難仲) : 누가 맏형이고 누가 둘째 형인지 분간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비교되는 대상의 우열을 가리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 (難: 어려울 난) (伯: 맏 백) (難: 어려울 난) (仲: 버금 중) ]
- 현가불철(絃歌不輟) : 거문고 타고 노래하는 것을 그치지 않는다는 뜻으로, 공자의 고사에서 유래되어 어려움을 당해도 학문을 계속함을 이르는 말. [ (絃: 악기줄 현) (歌: 노래 가) (不: 아니 불) (輟: 그칠 철) ]
- 화소성미청조제루난간(花笑聲未聽鳥啼淚難看) : 꽃은 웃으나 소리는 들리지 않고, 새는 우나 눈물은 보기가 어려움. [ (花: 꽃 화) (笑: 웃을 소) (聲: 소리 성) (未: 아닐 미) (聽: 들을 청) (鳥: 새 조) (啼: 울 제) (淚: 눈물 루) (難: 어려울 난) (看: 볼 간) ]
- 간두지세(竿頭之勢) : 대막대기 끝에 선 형세라는 뜻으로, 매우 위태로운 형세를 이르는 말. [ (竿: 장대 간) (頭: 머리 두) (之: 갈 지) (勢: 기세 세) ]
- 천고만난(千苦萬難) : 천 가지의 괴로움과 만 가지의 어려움이라는 뜻으로, 온갖 고난을 이르는 말. [ (千: 일천 천) (苦: 쓸 고) (萬: 일만 만) (難: 어려울 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