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5월 21일 금요일

노겸근칙: 勞謙謹勅

노겸근칙 (勞謙謹勅) : 근로(勤勞)하고 겸손(謙遜)하며 삼가고 신칙(申飭)하면 중용(中庸)의 도(道)에 이름.



勞謙謹勅 한자 뜻 풀이

  • 勞(일할 로) : 일하다, 위로하다, 애쓰다, 근심하다, 수고. 熒(형)은 '반짝인다'는 의미라서 불이 계속해서 타오를 수 있도록 힘[力]을 쓴다는 의미에서 '일하다', '힘쓰다'는 의미 생성
  • 謙(겸손할 겸) : 겸손하다, 혐의, 족하다, 자기를 낮춤, 만족함. 상대에게 말을 조심스럽게 한다는 의미에서 타인에 대한 배려의 '겸손' 의미 파생. 후에 '덜다' 파생. '兼(겸)'은 발음부호
  • 謹(삼갈 근) : 삼가다, 찰흙, 질흙, 삼감, 삼가.
  • 勅(조서 칙) : 조서(詔書), 타이르다, 삼가다, 바루다, 갖추다.


[勅] 조서 칙 (조서(詔書), 타이르다, 삼가다, 바루다, 갖추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노겸근칙 획순 이미지 노겸근칙(勞謙謹勅) : 근로(勤勞)하고 겸손(謙遜)하며 삼가고 신칙(申飭)하면 중용(中庸)의 도(道)에 이름. [ (: 겸손할 겸) (: 삼갈 근) (: 조서 칙) ]

[勞] 일할 로 (일하다, 위로하다, 애쓰다, 근심하다, 수고)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노이무공 획순 이미지 노이무공(勞而無功) : 애는 썼으나 보람이 없음을 이르는 말. ≪장자≫ <천운편(天運篇)>, ≪관자(管子)≫ <형세편(形勢篇)>에 나오는 말이다. [ (: 말 이을 이) (: 없을 무) (: 공 공) ]
  • 잠로영일(暫勞永逸) : 잠깐의 수고로움에 긴 편안함이라는 뜻으로, 잠시동안 수고하여 오랜 동안 즐긴다는 의미. [ (: 잠깐 잠) (: 일할 로) (: 길 영) (: 숨을 일) ]
  • 불로소득(不勞所得) : 직접 일을 하지 아니하고 얻는 수익. 이자, 배당금, 지대(地代) 따위를 통틀어 이른다. [ (: 아니 불) (: 일할 로) (: 바 소) (: 얻을 득) ]

[謙] 겸손할 겸 (겸손하다, 혐의, 족하다, 자기를 낮춤, 만족함)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노겸근칙 획순 이미지 노겸근칙(勞謙謹勅) : 근로(勤勞)하고 겸손(謙遜)하며 삼가고 신칙(申飭)하면 중용(中庸)의 도(道)에 이름. [ (: 겸손할 겸) (: 삼갈 근) (: 조서 칙) ]
  • 겸양지덕(謙讓之德) : 겸손한 태도로 남에게 양보하거나 사양하는 아름다운 마음씨나 행동. [ (: 겸손할 겸) (: 사양할 양) (: 갈 지) (: 덕 덕) ]
  • 만초손겸수익(慢招損謙受益) : 언제나 거만(倨慢)하면 손해(損害)를 보며, 겸손(謙遜)하면 이익(利益)을 본다는 뜻. [ (: 게으를 만) (: 부를 초) (: 덜 손) (: 겸손할 겸) (: 받을 수) (: 더할 익) ]
  • 휴영익겸(虧盈益謙) : 가득 찬 것을 덜어서 감소한 것에 더해준다는 뜻으로, 하늘의 도(天道)는 해가 정중에서 기울고, 달은 차면 이지러지는 것과 같이 가득 찬 것에서 덜어서 부족한 것에 보태어주는 역할을 한다는 의미. <역경(易經)>. [ (: 이지러질 휴) (: 찰 영) (: 더할 익) (: 겸손할 겸) ]

[謹] 삼갈 근 (삼가다, 찰흙, 질흙, 삼감, 삼가)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노겸근칙 획순 이미지 노겸근칙(勞謙謹勅) : 근로(勤勞)하고 겸손(謙遜)하며 삼가고 신칙(申飭)하면 중용(中庸)의 도(道)에 이름. [ (: 겸손할 겸) (: 삼갈 근) (: 조서 칙) ]
  • 근하신년(謹賀新年) : 삼가 새해를 축하한다는 뜻으로, 새해의 복을 비는 인사말. [ (: 삼갈 근) (: 하례할 하) (: 새 신) (: 해 년) ]

[겸손]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하성 획순 이미지 하성(下誠) : 주로 편지글에서, 웃어른에게 자기의 정성을 낮추어 이르는 말. [ (: 아래 하) (: 정성 성) ]
  • 천학비재(淺學菲才) : 학문이 얕고 재주가 변변치 않다는 뜻으로, 자기 학식을 겸손하게 이르는 말. [ (: 얕을 천) (: 배울 학) (: 엷을 비) (: 재주 재) ]
  • 귀각답천지(貴脚踏賤地) : 귀한 발로 천한 땅을 밟았다는 뜻으로, 누추한 곳에 잘 오셨다는 겸손한 인사말의 의미. [ (: 귀할 귀) (: 다리 각) (: 밟을 답) (: 천할 천) (: 땅 지) ]
  • 박주산채(薄酒山菜) : (1)맛이 변변하지 못한 술과 산나물. (2)자기가 내는 술과 안주를 겸손하게 이르는 말. [ (: 엷을 박) (: 술 주) (: 메 산) (: 나물 채) ]
  • 초해문자(稍解文字) : 글자나 겨우 볼 정도로 무식을 면함. [ (: 벼줄기끝 초) (: 풀 해) (: 글월 문) (: 글자 자) ]

[이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무하지증 획순 이미지 무하지증(無何之症) : 병명을 몰라서 고칠 수 없는 병. [ (: 없을 무) (: 어찌 하) (: 갈 지) (: 증세 증) ]
  • 화관무직(華官膴職) : 이름이 높고 봉록이 많은 벼슬. [ (: 빛날 화) (: 벼슬 관) (: 포 무) (: 벼슬 직) ]
  • 초목구후(草木俱朽) : 초목과 함께 썩는다는 뜻으로, 세상에 이름을 남기지 못하고 죽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풀 초) (: 나무 목) (: 함께 구) (: 썩을 후) ]
  • 제이면명(提耳面命) : 귀에 입을 가까이하고 얼굴을 맞대고 가르쳐 명함. 또는 간곡히 타이르고 가르침. [ (: 끌 제) (: 귀 이) (: 낯 면) (: 목숨 명) ]
  • 명경불피(明鏡不疲) : 맑은 거울은 아무리 사람을 비추어도 피로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맑은 지혜와 슬기는 아무리 많이 써도 손상되지 않음을 비유하는 말. [ (: 밝을 명) (: 거울 경) (: 아니 불) (: 피곤할 피) ]

[중용]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과유불급 획순 이미지 과유불급(過猶不及) : 정도를 지나침은 미치지 못함과 같다는 뜻으로, 중용(中庸)이 중요함을 이르는 말. ≪논어≫의 <선진편(先進篇)>에 나오는 말이다. [ (: 지날 과) (: 오히려 유) (: 아니 불) (: 미칠 급) ]
  • 솔성지위도(率性之謂道) : 본성을 따르는 것을 도라 말한다는 뜻으로, 사람이 하늘로부터 받은 본성을 따르는 것을 도리라고 말한다는 <중용(中庸)>의 가치. [ (: 거느릴 솔) (: 성품 성) (: 갈 지) (: 이를 위) (: 길 도) ]
  • 사서오경(四書五經) : 사서와 오경을 아울러 이르는 말. 곧 ≪논어≫, ≪맹자≫, ≪중용≫, ≪대학≫의 네 경전과 ≪시경≫, ≪서경≫, ≪주역≫, ≪예기≫, ≪춘추≫의 다섯 경서를 이른다. [ (: 넉 사) (: 글 서) (: 다섯 오) (: 지날 경) ]
  • 노겸근칙(勞謙謹勅) : 근로(勤勞)하고 겸손(謙遜)하며 삼가고 신칙(申飭)하면 중용(中庸)의 도(道)에 이름. [ (: 겸손할 겸) (: 삼갈 근) (: 조서 칙) ]
  • 낙이불음(樂而不淫) : 즐거우나 음탕하지 않다는 뜻으로, 즐기되 도를 넘지 않는다는 유가사상의 중용의 가치를 표현하는 의미로 볼 수 있는데, 어떠한 상황에서도 최소한의 기본적인 선을 지킨다는 의미로 활용됨. [ = 樂而不荒 (낙이불황) ]. [ (: 말 이을 이) (: 아니 불) (: 음란할 음)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