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5월 19일 수요일

처매자학: 妻梅子鶴

처매자학 (妻梅子鶴) : 매화(梅花)를 아내로 삼고, 학을 아들로 삼음.



妻梅子鶴 한자 뜻 풀이

  • 妻(아내 처) : 아내, 시집보내다. 손에 비를 들고 서있는 여자의 의미에서 '집안의 아내'라는 의미 생성함
  • 梅(매화나무 매) : 매화나무, 절후 이름, 신맛, 어둡다, 매실이 익을 무렵인 장마철. 매실, 매화의 의미. '每(매)'는 발음.
  • 子(아들 자) : 아들, 사랑하다, 자식, 새끼, 남자의 통칭. 강보에 쌓인 어린 '아이'를 본뜬 글자임. 강보에 쌓여 있기 때문에 다리가 하나로 표현됨
  • 鶴(학 학) : 학, 희다, 호미의 머리. 왼쪽 부분 위의 '집면[갓머리]'은 두루미와 유사한 새들의 머리 장식 표현임. 웅장한 모습의 두루미를 형상하고 있는 글자


[妻] 아내 처 (아내, 시집보내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부화처순 획순 이미지 부화처순(夫和妻順) : 부부 사이가 화목함. [ (: 지아비 부) (: 고를 화) (: 아내 처) (: 순할 순) ]
  • 전처소생(前妻所生) : 전처의 몸에서 난 자식. [ (: 앞 전) (: 아내 처) (: 바 소) (: 날 생) ]
  • 사가망처(徙家忘妻) : 이사를 갈 때 아내를 잊고 두고 간다는 뜻으로, 무엇을 잘 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옮길 사) (: 집 가) (: 잊을 망) (: 아내 처) ]
  • 매처학자(梅妻鶴子) : 유유자적한 풍류 생활을 이르는 말. 중국 송나라의 임포(林逋)가 서호(西湖)에 은거하면서, 처자도 없이 오직 매화를 심고 학을 기르며 생활을 즐겼다는 데서 유래한다. [ (: 매화나무 매) (: 아내 처) (: 학 학) (: 아들 자) ]
  • 처성자옥(妻城子獄) : 아내는 성(城)이고 자식은 감옥이라는 뜻으로, 처자가 있는 사람은 거기에 얽매여 자유롭게 활동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 (: 아내 처) (: 성 성) (: 아들 자) (: 옥 옥) ]

[子] 아들 자 (아들, 사랑하다, 자식, 새끼, 남자의 통칭)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시부시자 획순 이미지 시부시자(是父是子) : 이 아비에 이 아들이라는 뜻으로, 그 아비를 닮은 그 자식이라는 의미에서 부자(父子)가 모두 훌륭함을 이르는 말. [ (: 옳을 시) (: 아비 부) (: 옳을 시) (: 아들 자) ]
  • 書차이소자경수서(嗟爾小子敬受此) : 자, 너희 어린이들아! 공경(恭敬)하는 마음으로 이글을 받아들여야 함. [ ]
  • 경화자제(京華子弟) : 번화한 서울에서 곱게 자란 젊은이라는 뜻으로, 주로 부잣집 자녀들을 이르는 말. [ (: 서울 경) (: 빛날 화) (: 아들 자) (: 아우 제) ]
  • 효자애일(孝子愛日) : 효자는 날을 아낀다는 뜻으로, 될 수 있는 한 오래 부모에게 효성을 다하여 섬기고자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효도 효) (: 아들 자) (: 사랑 애) (: 날 일) ]
  • 취중무천자(醉中無天子) : 취중에는 천자도 없다는 뜻으로, 술에 취하면 두렵거나 무서운 것이 없어짐을 이르는 말. [ (: 취할 취) (: 가운데 중) (: 없을 무) (: 하늘 천) (: 아들 자) ]

[梅] 매화나무 매 (매화나무, 절후 이름, 신맛, 어둡다, 매실이 익을 무렵인 장마철)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매처학자 획순 이미지 매처학자(梅妻鶴子) : 유유자적한 풍류 생활을 이르는 말. 중국 송나라의 임포(林逋)가 서호(西湖)에 은거하면서, 처자도 없이 오직 매화를 심고 학을 기르며 생활을 즐겼다는 데서 유래한다. [ (: 매화나무 매) (: 아내 처) (: 학 학) (: 아들 자) ]
  • 처매자학(妻梅子鶴) : 매화(梅花)를 아내로 삼고, 학을 아들로 삼음. [ (: 아내 처) (: 매화나무 매) (: 아들 자) (: 학 학) ]
  • 매자십이(梅子十二) : 매실나무는 심은 지 12년이 되어야 열매를 맺는다는 말. [ (: 매화나무 매) (: 아들 자) (: 열 십) (: 두 이) ]
  • 송죽매(松竹梅) : 소나무와 대나무와 매화나무를 아울러 이르는 말. 예로부터 세한삼우라고 하여 시나 그림의 소재로 많이 삼아 왔다. [ (: 솔 송) (: 대 죽) (: 매화나무 매) ]

[鶴] 학 학 (학, 희다, 호미의 머리)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매처학자 획순 이미지 매처학자(梅妻鶴子) : 유유자적한 풍류 생활을 이르는 말. 중국 송나라의 임포(林逋)가 서호(西湖)에 은거하면서, 처자도 없이 오직 매화를 심고 학을 기르며 생활을 즐겼다는 데서 유래한다. [ (: 매화나무 매) (: 아내 처) (: 학 학) (: 아들 자) ]
  • 벽해황용택청송백학루(碧海黃龍宅靑松白鶴樓) : 푸른 바다는 누런 용의 집이요, 푸른 소나무는 흰 학의 누각(樓閣)임. [ (: 푸를 벽) (: 바다 해) (: 누를 황) (: 집 택) (: 푸를 청) (: 솔 송) (: 흰 백) (: 학 학) (: 다락 루) ]
  • 어린학익(魚鱗鶴翼) : 어린진과 학익진을 아울러 이르는 말. [ (: 고기 어) (: 비늘 린) (: 학 학) (: 날개 익) ]
  • 학령(鶴齡) : 두루미의 나이라는 뜻으로, 장수한 노인의 나이를 이르는 말. [ (: 학 학) (: 나이 령) ]

[학]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거각 획순 이미지 거각(擧覺) : 스승이 들어 보여서 학인(學人)이 깨닫는다는 뜻으로, 스승과 학인이 만나는 일을 이르는 말. [ (: 들 거) (: 깨달을 각) ]
  • 매처학자(梅妻鶴子) : 유유자적한 풍류 생활을 이르는 말. 중국 송나라의 임포(林逋)가 서호(西湖)에 은거하면서, 처자도 없이 오직 매화를 심고 학을 기르며 생활을 즐겼다는 데서 유래한다. [ (: 매화나무 매) (: 아내 처) (: 학 학) (: 아들 자) ]
  • 다기망양(多岐亡羊) : (1)갈림길이 많아 잃어버린 양을 찾지 못한다는 뜻으로, 두루 섭렵하기만 하고 전공하는 바가 없어 끝내 성취하지 못함을 이르는 말. ≪열자(列子)≫<설부(雪符)>에 나오는 말이다. (2)방침이 많아서 도리어 갈 바를 모름. [ (: 많을 다) (: 갈림길 기) (: 잃을 망) (: 양 양) ]

[매화]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삼익우 획순 이미지 삼익우(三益友) : 사귀어서 자기에게 도움이 되는 세 가지의 벗. 심성이 곧은 사람과 믿음직한 사람, 문견이 많은 사람을 이른다. [ (: 석 삼) (: 더할 익) (: 벗 우) ]
  • 매처학자(梅妻鶴子) : 유유자적한 풍류 생활을 이르는 말. 중국 송나라의 임포(林逋)가 서호(西湖)에 은거하면서, 처자도 없이 오직 매화를 심고 학을 기르며 생활을 즐겼다는 데서 유래한다. [ (: 매화나무 매) (: 아내 처) (: 학 학) (: 아들 자) ]
  • 아치고절(雅致高節) : 아담(雅淡ㆍ雅澹)한 풍치(風致)나 높은 절개(節槪)라는 뜻으로, 매화(梅花)를 이르는 말. [ (: 바를 아) (: 이룰 치) (: 높을 고) (: 마디 절) ]
  • 설중군자(雪中君子) : 눈 속의 군자라는 뜻으로, 사군자(四君子)의 하나인 매화의 딴 이름임. [ (: 눈 설) (: 가운데 중) (: 임금 군) (: 아들 자) ]
  • 빙기옥골(氷肌玉骨) : (1)살결이 맑고 깨끗한 미인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매화의 곱고 깨끗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얼음 빙) (: 살 기) (: 구슬 옥) (: 뼈 골) ]

[삼음]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병탄 획순 이미지 병탄(倂呑) : 아울러 삼킨다는 뜻으로, 남의 재물(財物)ㆍ영토(領土)ㆍ주권(主權) 등(等)을 강제(强制)로 한데 아울러서 제 것으로 삼음. [ (: 아우를 병) (: 삼킬 탄) ]
  • 처매자학(妻梅子鶴) : 매화(梅花)를 아내로 삼고, 학을 아들로 삼음. [ (: 아내 처) (: 매화나무 매) (: 아들 자) (: 학 학) ]
  • 진선미(眞善美) : 참됨, 착함, 아름다움을 아울러 이르는 말. [ (: 참 진) (: 착할 선) (: 아름다울 미) ]

[아내]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장인 획순 이미지 장인(丈人) : (1)아내의 아버지. (2)아내의 아버지를 이르는 말. (3)늙은이를 이르는 말. (4)죽은 할아버지를 이르는 말. (5)덕이 많고 학식이 많은 사람. (6)아버지의 벗. [ (: 어른 장) (: 사람 인) ]
  • 사가망처(徙家忘妻) : 이사를 갈 때 아내를 잊고 두고 간다는 뜻으로, 무엇을 잘 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옮길 사) (: 집 가) (: 잊을 망) (: 아내 처) ]
  • 매처학자(梅妻鶴子) : 유유자적한 풍류 생활을 이르는 말. 중국 송나라의 임포(林逋)가 서호(西湖)에 은거하면서, 처자도 없이 오직 매화를 심고 학을 기르며 생활을 즐겼다는 데서 유래한다. [ (: 매화나무 매) (: 아내 처) (: 학 학) (: 아들 자) ]
  • 악옹(岳翁) : 아내의 아버지. [ (: 큰산 악) (: 늙은이 옹) ]
  • 삼종숙모(三從叔母) : 삼종숙의 아내. [ (: 석 삼) (: 좇을 종) (: 아재비 숙) (: 어미 모) ]

[아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시부시자 획순 이미지 시부시자(是父是子) : 이 아비에 이 아들이라는 뜻으로, 그 아비를 닮은 그 자식이라는 의미에서 부자(父子)가 모두 훌륭함을 이르는 말. [ (: 옳을 시) (: 아비 부) (: 옳을 시) (: 아들 자) ]
  • 당대발복(當代發福) : 풍수지리에서, 부모를 좋은 묏자리에 장사 지낸 덕으로 그 아들 대에서 부귀를 누리게 됨. [ (: 마땅할 당) (: 대신 대) (: 필 발) (: 복 복) ]
  • 포통서하(抱痛西河) : 서하에서 고통을 품는다는 뜻으로, 공자의 제자 자하(子夏)가 서하에 있을 때, 그의 아들을 잃고 너무 비통한 나머지 실명한 고사에서 유래되어 자식을 잃고 슬퍼하는 일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 (: 안을 포) (: 아플 통) (西: 서녘 서) (: 강 이름 하)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