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지적수 (適地敵樹) : 알맞은 땅에 알맞은 나무를 심음.
適地敵樹 한자 뜻 풀이
- 適(갈 적) : 가다, 원수, 다만, 적, 만나다. 필요한 곳으로 '나아가다'는 의미에서 '가다', '마땅하다' 등의 의미 생성. '啇'은 발음
- 地(땅 지) : 땅, 국토, 곳, 지체, 토지의 신(神). 땅의 의미는 하늘과 대칭적인 의미에서 여성의 상징인 '也'를 결합해서 만듦
- 敵(원수 적) : 원수, 상대, 대등하다, 맞서다, 갚다. 공격의 대상이라는 의미에서 '원수'의 의미를 지님. 후에 '맞서다'는 의미 파생. '適(적: 가다)', '摘(적: 따다)', '滴(적: 물방울)' 등과 구별에 유의
- 樹(나무 수) : 나무, 심다, 자라고 있는 나무, 식물을 심음, 초목. '살아 있는 나무'의 경우에 사용하는 '나무'의 의미로 만듦. 尌(주)는 발음 요소
[地] 땅 지 (땅, 국토, 곳, 지체, 토지의 신(神))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천방지방(天方地方) : 너무 급하여 허둥지둥 함부로 날뛰는 모양. [ (天: 하늘 천) (方: 모 방) (地: 땅 지) (方: 모 방) ]
- 정천이지(頂天履地) : 하늘을 이고 땅을 밟음. [ (頂: 정수리 정) (天: 하늘 천) (地: 땅 지) ]
- 천지지평(天地之平) : 천지가 공평한 일. [ (天: 하늘 천) (地: 땅 지) (之: 갈 지) (平: 평평할 평) ]
- 천시불여지리지리불여인화(天時不如地利地利不如人和) : 하늘이 주는 좋은 때는 지리적(地理的) 이로움만 못하고 지리적(地理的) 이로움도 사람의 화합(和合)만 못함. [ (天: 하늘 천) (時: 때 시) (不: 아니 불) (如: 같을 여) (地: 땅 지) (利: 날카로울 리) (地: 땅 지) (利: 날카로울 리) (不: 아니 불) (如: 같을 여) (人: 사람 인) (和: 고를 화) ]
- 사패지지(賜牌之地) : 고려ㆍ조선 시대에, 임금이 내려 준 논밭. 주로 외교와 국방 따위의 분야에서 나라에 큰 공을 세운 왕족이나 벼슬아치에게 내려 주었으며, 세습이 되는 토지와 안 되는 토지가 있었다. [ (賜: 줄 사) (牌: 패 패) (之: 갈 지) (地: 땅 지) ]
[敵] 원수 적 (원수, 상대, 대등하다, 맞서다, 갚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복배수적(腹背受敵) : 앞뒤로 적을 만남. [ (腹: 배 복) (背: 등 배) (受: 받을 수) (敵: 원수 적) ]
- 적지적수(適地敵樹) : 알맞은 땅에 알맞은 나무를 심음. [ (適: 갈 적) (地: 땅 지) (敵: 원수 적) (樹: 나무 수) ]
- 무적무막(無敵無莫) : 되어 가는 대로 맡겨 둠. [ (無: 없을 무) (敵: 원수 적) (無: 없을 무) (莫: 없을 막) ]
- 약득일적국(若得一敵國) : 자기(自己) 나라와 힘이 대등(對等)한 나라를 얻은 것과 같다는 뜻으로, 훌륭한 인재(人材)를 얻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若: 같을 약) (得: 얻을 득) (一: 한 일) (敵: 원수 적) (國: 나라 국) ]
- 인자무적(仁者無敵) : 어진 사람은 남에게 덕을 베풂으로써 모든 사람의 사랑을 받기에 세상에 적이 없음. [ (仁: 어질 인) (者: 놈 자) (無: 없을 무) (敵: 원수 적) ]
[樹] 나무 수 (나무, 심다, 자라고 있는 나무, 식물을 심음, 초목)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상조협수(上早莢樹) : 조협나무에 오른다는 뜻으로, 공처가를 이르는 말. [ (上: 위 상) (早: 일찍 조) (莢: 열매 협) (樹: 나무 수) ]
- 무우수(無憂樹) : '보리수'를 달리 이르는 말. 마야 부인이 보리수 아래에서 싯다르타 태자를 안산하여 근심할 것이 없었다 하여 이렇게 이른다. [ (無: 없을 무) (憂: 근심 우) (樹: 나무 수) ]
- 독수독과(毒樹毒果) : 독이 든 나무의 열매에도 독이 있다는 뜻으로, 법에 어긋난 방법으로 얻은 증거는 증거로 인정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 (毒: 독 독) (樹: 나무 수) (毒: 독 독) (果: 실과 과) ]
- 천생민이수지군(天生民而樹之君) : 하늘이 백성(百姓)을 낳고 그리고 임금을 세운다는 뜻으로, 임금을 내세움은 백성(百姓)을 위(爲)한 것임을 이르는 말. [ (天: 하늘 천) (生: 날 생) (民: 백성 민) (而: 말 이을 이) (樹: 나무 수) (之: 갈 지) (君: 임금 군) ]
- 명봉재수(鳴鳳在樹) : 명군(名君), 성현(聖賢)이 나타나면 봉(鳳)이 운다는 말과 같이 덕망(德望)이 미치는 곳마다 봉(鳳)이 나무 위에서 울 것임. [ (鳴: 울 명) (鳳: 봉새 봉) (在: 있을 재) (樹: 나무 수) ]
[適] 갈 적 (가다, 원수, 다만, 적, 만나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적본주의(適本主義) : 목적(目的)은 다른 곳에 있는 것처럼 꾸미고, 실상(實相)은 그 하고자 하는 목적(目的)으로 나아가는 일. [ (適: 갈 적) (本: 밑 본) (主: 주인 주) (義: 옳을 의) ]
- 안한자적(安閑自適) : 평화롭고 한가하여 마음 내키는 대로 즐김. [ (安: 편안할 안) (閑: 한가할 한) (自: 스스로 자) (適: 갈 적) ]
- 적지적수(適地敵樹) : 알맞은 땅에 알맞은 나무를 심음. [ (適: 갈 적) (地: 땅 지) (敵: 원수 적) (樹: 나무 수) ]
- 적구충장(適口充腸) : 훌륭한 음식(飮食)이 아니라도 입에 맞으면 배를 채움. [ (適: 갈 적) (口: 입 구) (充: 찰 충) (腸: 창자 장) ]
- 북원적초(北轅適楚) : 나릇을 북쪽으로 향(向)하게 해 놓고 남쪽인 초(楚)나라로 가려 한다는 뜻으로, 의도(意圖)하는 바와 행(行)하는 바가 서로 어긋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北: 북녘 북) (轅: 끌채 원) (適: 갈 적) (楚: 모형 초) ]
[땅]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천방지방(天方地方) : 너무 급하여 허둥지둥 함부로 날뛰는 모양. [ (天: 하늘 천) (方: 모 방) (地: 땅 지) (方: 모 방) ]
- 정천이지(頂天履地) : 하늘을 이고 땅을 밟음. [ (頂: 정수리 정) (天: 하늘 천) (地: 땅 지) ]
- 사패지지(賜牌之地) : 고려ㆍ조선 시대에, 임금이 내려 준 논밭. 주로 외교와 국방 따위의 분야에서 나라에 큰 공을 세운 왕족이나 벼슬아치에게 내려 주었으며, 세습이 되는 토지와 안 되는 토지가 있었다. [ (賜: 줄 사) (牌: 패 패) (之: 갈 지) (地: 땅 지) ]
- 당금지지(當禁之地) : 다른 사람이 뫼를 쓰지 못하게 하는 땅. [ (當: 마땅할 당) (禁: 금할 금) (之: 갈 지) (地: 땅 지) ]
- 간뇌도지(肝腦塗地) : 참혹한 죽임을 당하여 간장(肝臟)과 뇌수(腦髓)가 땅에 널려 있다는 뜻으로, 나라를 위하여 목숨을 돌보지 않고 애를 씀을 이르는 말. [ (肝: 간 간) (腦: 뇌 뇌) (塗: 진흙 도) (地: 땅 지) ]
[나무]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상조협수(上早莢樹) : 조협나무에 오른다는 뜻으로, 공처가를 이르는 말. [ (上: 위 상) (早: 일찍 조) (莢: 열매 협) (樹: 나무 수) ]
- 원공방목(圓孔方木) : 둥근 구멍에 모난 막대기라는 뜻으로, 사물이 서로 맞지 않음을 이르는 말. [ (圓: 둥글 원) (孔: 구멍 공) (方: 모 방) (木: 나무 목) ]
- 신진화멸(薪盡火滅) : 나무가 다 타서 없어지고 불이 꺼졌다는 뜻으로, 사람의 죽음이나 사물의 멸망을 이르는 말. [ (薪: 섶나무 신) (盡: 다할 진) (火: 불 화) (滅: 멸망할 멸) ]
- 단사표음(簞食瓢飮) : 대나무로 만든 밥그릇에 담은 밥과 표주박에 든 물이라는 뜻으로, 청빈하고 소박한 생활을 이르는 말. [ (簞: 대광주리 단) (食: 밥 사) (瓢: 박 표) (飮: 마실 음) ]
- 무우수(無憂樹) : '보리수'를 달리 이르는 말. 마야 부인이 보리수 아래에서 싯다르타 태자를 안산하여 근심할 것이 없었다 하여 이렇게 이른다. [ (無: 없을 무) (憂: 근심 우) (樹: 나무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