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명지전 (易名之典) : 임금에게서 시호(諡號)를 받는 은전.
易名之典 한자 뜻 풀이
- 易(바꿀 역) : 바꾸다, 쉽다, 바뀌다, 어기다, 다르다. 日과 月의 결합에서 끊임없는 변화로 '바꾸다'는 의미로 보거나, 도마뱀의 모양으로 보기도 함. (이)발음은 '쉽다'는 의미
- 名(이름 명) : 이름, 외형(外形), 평판(評判), 유명하다, 이름 붙이다. 어두운 저녁[夕]에 만난 상대를 확인하기 위해 부른다[口]는 의미에서 '이름'의 의미 생성
- 之(갈 지) : 가다, 변하여 가다, 이용하다, 끼치다, 걸어가다. 대지에 풀이 돋아나 자라는 모양에서 '가다' 의미 파생. 문장 속에서 어조사로 사용되거나 대명사 역할을 하기도 함
- 典(법 전) : 법, 책, 가르침, 의식, 바르다. 책상 위에 책을 놓은 모양에서 법, 규정 등의 의미를 생성함
[之] 갈 지 (가다, 변하여 가다, 이용하다, 끼치다, 걸어가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살활지권(殺活之權) : 살리고 죽일 수 있는 권리. [ (殺: 죽일 살) (活: 살 활) (之: 갈 지) (權: 저울추 권) ]
- 문경지우(刎頸之友) : 서로를 위해서라면 목이 잘린다 해도 후회하지 않을 정도의 사이라는 뜻으로, 생사를 같이할 수 있는 아주 가까운 사이, 또는 그런 친구를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인상여(藺相如)와 염파(廉頗)의 고사에서 유래하였다. [ (刎: 목 벨 문) (頸: 목 경) (之: 갈 지) (友: 벗 우) ]
- 풍목지비(風木之悲) : 효도를 다하지 못한 채 어버이를 여읜 자식의 슬픔을 이르는 말. [ (風: 바람 풍) (木: 나무 목) (之: 갈 지) (悲: 슬플 비) ]
[典] 법 전 (법, 책, 가르침, 의식, 바르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축성전(祝盛典) : 성대(盛大)한 의식(儀式)을 축하(祝賀)한다는 뜻으로, 결혼(結婚)을 축하(祝賀)함. 경조사(慶弔事)의 서식(書式). [ (祝: 빌 축) (盛: 담을 성) (典: 법 전) ]
- 흠휼지전(欽恤之典) : 죄수를 신중하게 심의하라는 뜻으로 나라에서 내리는 은전(恩典). [ (欽: 공경할 흠) (恤: 구휼할 휼) (之: 갈 지) (典: 법 전) ]
- 차인전적물훼필완(借人典籍勿毁必完) : 남의 책을 빌려 오면 훼손(毁損)시키지 말고 반드시 온전(穩全)하게 함. [ (借: 빌 차) (人: 사람 인) (典: 법 전) (籍: 문서 적) (勿: 말 물) (毁: 헐 훼) (必: 반드시 필) (完: 완전할 완) ]
- 역명지전(易名之典) : 임금에게서 시호(諡號)를 받는 은전. [ (易: 바꿀 역) (名: 이름 명) (之: 갈 지) (典: 법 전) ]
- 출어하전(出於何典) : 어느 책에 나왔냐는 뜻으로, 근거가 되는 출전(出典)이 무엇이냐고 묻는 말. [ (出: 날 출) (於: 어조사 어) (何: 어찌 하) (典: 법 전) ]
[名] 이름 명 (이름, 외형(外形), 평판(評判), 유명하다, 이름 붙이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통성명(通姓名) : 처음으로 인사할 때 서로 성과 이름을 알려 줌. [ (通: 통할 통) (姓: 성 성) (名: 이름 명) ]
- 명불허득(名不虛得) : 명예나 명성은 헛되이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님. [ (名: 이름 명) (不: 아니 불) (虛: 빌 허) (得: 얻을 득) ]
- 허명무실(虛名無實) : 헛된 이름뿐이고 실속이 없음. [ (虛: 빌 허) (名: 이름 명) (無: 없을 무) (實: 열매 실) ]
- 명실불부(名實不副) : 명실이 서로 맞지 아니함. [ (名: 이름 명) (實: 열매 실) (不: 아니 불) (副: 버금 부) ]
- 매골불매명(埋骨不埋名) : 뼈는 묻어도 이름은 묻을 수 없다는 뜻으로, 몸은 죽어 뼈를 묻지만, 그 이름은 영원히 전해짐을 이르는 말. [ (埋: 묻을 매) (骨: 뼈 골) (不: 아니 불) (埋: 묻을 매) (名: 이름 명) ]
[易] 바꿀 역 (바꾸다, 쉽다, 바뀌다, 어기다, 다르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변역생사(變易生死) : 보살이 삼계(三界)의 윤회를 떠난 뒤 성불하기까지 그 원력(願力)에 의하여 현세에 나타나서 일부러 받는 생사. 미계(迷界)와 오계(悟界)의 경계를 지나가는 상태를 이른다. [ (變: 변할 변) (易: 바꿀 역) (生: 날 생) (死: 죽을 사) ]
- 절지지이(折枝之易) : 나뭇가지를 꺾는 것과 같이 쉽다는 뜻으로, 대단히 용이(容易)한 일을 이르는 말. [ (折: 꺾을 절) (枝: 가지 지) (之: 갈 지) (易: 쉬울 이) ]
- 천고불역(千古不易) : (1) 오래도록 변화(變化)하지 않음 (2) 영구(永久)히 변(變)하지 않음. [ (千: 일천 천) (古: 예 고) (不: 아니 불) (易: 바꿀 역) ]
- 역책(易簀) : 학덕이 높은 사람의 죽음이나 임종을 이르는 말. 증자가 죽을 때를 당하여 삿자리를 바꾸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예기≫의 <단궁편(檀弓篇)>에 나오는 말이다. [ (易: 바꿀 역) (簀: 살평상 책) ]
- 산면분음양수성이천심(山面分陰陽水聲易淺深) : 산면은 그늘과 볕을 나누고, 물소리는 얕고 깊음을 바꿈. [ (山: 메 산) (面: 낯 면) (分: 나눌 분) (陰: 응달 음) (陽: 볕 양) (水: 물 수) (聲: 소리 성) (易: 쉬울 이) (淺: 얕을 천) (深: 깊을 심) ]
[은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흠휼지전(欽恤之典) : 죄수를 신중하게 심의하라는 뜻으로 나라에서 내리는 은전(恩典). [ (欽: 공경할 흠) (恤: 구휼할 휼) (之: 갈 지) (典: 법 전) ]
- 역명지전(易名之典) : 임금에게서 시호(諡號)를 받는 은전. [ (易: 바꿀 역) (名: 이름 명) (之: 갈 지) (典: 법 전) ]
- 임자지전(任子之典) : 나라에 공로를 세운 신하의 자손에게 벼슬을 주던 특전(特典). [ (任: 맡길 임) (子: 아들 자) (之: 갈 지) (典: 법 전) ]
[임금]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부마도위(駙馬都尉) : 임금의 사위에게 주던 칭호. [ (駙: 곁말 부) (馬: 말 마) (都: 도읍 도) (尉: 벼슬 위) ]
- 현성지군(賢聖之君) : 어질고 현명하며 거룩한 임금. [ (賢: 어질 현) (聖: 성스러울 성) (之: 갈 지) (君: 임금 군) ]
- 경지옥엽(瓊枝玉葉) : (1)옥으로 된 가지와 잎이라는 뜻으로, 임금의 가족을 높여 이르는 말. (2)귀한 자손을 이르는 말. [ (瓊: 옥 경) (枝: 가지 지) (玉: 구슬 옥) (葉: 잎 엽) ]
- 사패지지(賜牌之地) : 고려ㆍ조선 시대에, 임금이 내려 준 논밭. 주로 외교와 국방 따위의 분야에서 나라에 큰 공을 세운 왕족이나 벼슬아치에게 내려 주었으며, 세습이 되는 토지와 안 되는 토지가 있었다. [ (賜: 줄 사) (牌: 패 패) (之: 갈 지) (地: 땅 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