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초한화 (漁焦閑話) : 어부(漁夫)와 나무꾼의 한가(閑暇)로운 이야기라는 뜻으로, 명리(名利)를 떠난 이야기를 이르는 말.
漁焦閑話 한자 뜻 풀이
- 漁(고기잡을 어) : 고기를 잡다, 고기잡이, 어부(漁夫), 물고기를 잡다, 닥치는 대로 가지다. 물 속 물고기를 잡는 일이나 그와 관련된 의미에 활용됨
- 焦(그스를 초) : 그스르다, 가마솥, 태움, 탐, 애타다. 새 밑에 불을 놓고 태우는 모양에서 '태우다'는 의미 생성. 후에 사람이 마음을 졸이거나 난해한 생각을 한다는 의미에서 '애태우다' 파생
- 閑(한가할 한) : 한가하다, 막다, 문지방, 가로막다, 한정하다. 본래 문 안의 나무라는 뜻에서 '문지방'의 의미인데, 후에 '閒(한)'과 통용하여 '짬', '여가'의 의미로 사용됨
- 話(말할 화) : 말하다, 이야기, 다스리다, 사투리, 고르다. 여러 가지 재미있는 이야기로 말하다는 의미에서 '말하다', '이야기' 등의 의미 생성
[漁] 고기잡을 어 (고기를 잡다, 고기잡이, 어부(漁夫), 물고기를 잡다, 닥치는 대로 가지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어초한화(漁樵閑話) : 고기잡는 이와 나무하는 이의 한가한 이야기라는 뜻으로, 어부와 나무꾼의 한가한 이야기 같은 명리(名利)를 떠난 이야기를 이르는 말. [ (漁: 고기잡을 어) (樵: 땔나무 초) (閑: 한가할 한) (話: 말할 화) ]
- 어초한화(漁焦閑話) : 어부(漁夫)와 나무꾼의 한가(閑暇)로운 이야기라는 뜻으로, 명리(名利)를 떠난 이야기를 이르는 말. [ (漁: 고기잡을 어) (焦: 그스를 초) (閑: 한가할 한) (話: 말할 화) ]
- 갈택이어(竭澤而漁) : 연못의 물을 말려 고기를 잡는다는 뜻으로, 일시적인 욕심 때문에 먼 장래를 생각하지 않음. [ (竭: 다할 갈) (澤: 못 택) (而: 말 이을 이) (漁: 고기잡을 어) ]
- 어부지용(漁夫之勇) : 물속에서 무서워하지 아니하는 어부의 용기라는 뜻으로, 오랜 체험에서 얻은 용기를 이르는 말. [ (漁: 고기잡을 어) (夫: 지아비 부) (之: 갈 지) (勇: 날랠 용) ]
- 어인지공(漁人之功) : 두 사람이 이해관계로 서로 싸우는 사이에 엉뚱한 사람이 애쓰지 않고 가로챈 이익을 이르는 말. [ (漁: 고기잡을 어) (人: 사람 인) (之: 갈 지) (功: 공 공) ]
[焦] 그스를 초 (그스르다, 가마솥, 태움, 탐, 애타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초심고려(焦心苦慮) : 마음을 졸여서 태우며 괴롭게 염려함. [ (焦: 그스를 초) (心: 마음 심) (苦: 쓸 고) (慮: 생각할 려) ]
- 어초한화(漁焦閑話) : 어부(漁夫)와 나무꾼의 한가(閑暇)로운 이야기라는 뜻으로, 명리(名利)를 떠난 이야기를 이르는 말. [ (漁: 고기잡을 어) (焦: 그스를 초) (閑: 한가할 한) (話: 말할 화) ]
- 초미지급(焦眉之急) : 눈썹에 불이 붙어 다급하다는 뜻으로, 매우 급함을 이르는 말. [ (焦: 그스를 초) (眉: 눈썹 미) (之: 갈 지) (急: 급할 급) ]
- 초두난액(焦頭爛額) : 불에 머리를 태우고 이마를 그슬려 가며 불을 끈다는 뜻으로, 어려운 일을 당하여 몹시 애쓰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십팔사략≫, ≪통감(通鑑)≫, ≪한서(漢書)≫의 <곽광전(霍光傳)>에 나온다. [ (焦: 그스를 초) (頭: 머리 두) (額: 이마 액) ]
- 로심초사(勞心焦思) : (1)몹시 마음을 쓰며 애를 태움. (2)'노심초사'의 북한어. [ (心: 마음 심) (焦: 그스를 초) (思: 생각할 사) ]
[話] 말할 화 (말하다, 이야기, 다스리다, 사투리, 고르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가문설화(可聞說話) : 들을 만한 가치가 있는 옛이야기. [ (可: 옳을 가) (聞: 들을 문) (說: 말씀 설) (話: 말할 화) ]
- 어초한화(漁樵閑話) : 고기잡는 이와 나무하는 이의 한가한 이야기라는 뜻으로, 어부와 나무꾼의 한가한 이야기 같은 명리(名利)를 떠난 이야기를 이르는 말. [ (漁: 고기잡을 어) (樵: 땔나무 초) (閑: 한가할 한) (話: 말할 화) ]
- 어초한화(漁焦閑話) : 어부(漁夫)와 나무꾼의 한가(閑暇)로운 이야기라는 뜻으로, 명리(名利)를 떠난 이야기를 이르는 말. [ (漁: 고기잡을 어) (焦: 그스를 초) (閑: 한가할 한) (話: 말할 화) ]
- 향인설화(向人說話) : 남을 마주 대하여 보며 이야기함. [ (向: 향할 향) (人: 사람 인) (說: 말씀 설) (話: 말할 화) ]
- 만단설화(萬端說話) : 온갖 이야기. [ (萬: 일만 만) (端: 바를 단) (說: 말씀 설) (話: 말할 화) ]
[閑] 한가할 한 (한가하다, 막다, 문지방, 가로막다, 한정하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한담객설(閑談客說) : 심심풀이로 하는 실없는 말. [ (閑: 한가할 한) (談: 말씀 담) (客: 손 객) (說: 말씀 설) ]
- 색거한처(索居閑處) : 퇴직(退職)하여 한가(閑暇)한 곳에서 세상(世上)을 보냄. [ (索: 찾을 색) (居: 있을 거) (閑: 한가할 한) (處: 머무를 처) ]
- 어초한화(漁樵閑話) : 고기잡는 이와 나무하는 이의 한가한 이야기라는 뜻으로, 어부와 나무꾼의 한가한 이야기 같은 명리(名利)를 떠난 이야기를 이르는 말. [ (漁: 고기잡을 어) (樵: 땔나무 초) (閑: 한가할 한) (話: 말할 화) ]
- 안한자적(安閑自適) : 평화롭고 한가하여 마음 내키는 대로 즐김. [ (安: 편안할 안) (閑: 한가할 한) (自: 스스로 자) (適: 갈 적) ]
- 어초한화(漁焦閑話) : 어부(漁夫)와 나무꾼의 한가(閑暇)로운 이야기라는 뜻으로, 명리(名利)를 떠난 이야기를 이르는 말. [ (漁: 고기잡을 어) (焦: 그스를 초) (閑: 한가할 한) (話: 말할 화) ]
[명리]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어초한화(漁樵閑話) : 고기잡는 이와 나무하는 이의 한가한 이야기라는 뜻으로, 어부와 나무꾼의 한가한 이야기 같은 명리(名利)를 떠난 이야기를 이르는 말. [ (漁: 고기잡을 어) (樵: 땔나무 초) (閑: 한가할 한) (話: 말할 화) ]
- 어초한화(漁焦閑話) : 어부(漁夫)와 나무꾼의 한가(閑暇)로운 이야기라는 뜻으로, 명리(名利)를 떠난 이야기를 이르는 말. [ (漁: 고기잡을 어) (焦: 그스를 초) (閑: 한가할 한) (話: 말할 화) ]
- 봉호만택(蓬蒿滿宅) : 쑥이 집안에 가득하다는 뜻으로, 조금도 세상의 명리(名利)에 개의하지 않는다는 의미. [ (蓬: 쑥 봉) (蒿: 쑥 호) (滿: 찰 만) (宅: 집 택) ]
[어부]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어초한화(漁樵閑話) : 고기잡는 이와 나무하는 이의 한가한 이야기라는 뜻으로, 어부와 나무꾼의 한가한 이야기 같은 명리(名利)를 떠난 이야기를 이르는 말. [ (漁: 고기잡을 어) (樵: 땔나무 초) (閑: 한가할 한) (話: 말할 화) ]
- 도원(桃源) : 도연명의 <도화원기>에 나오는 말로, 이상향, 별천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진(晉)나라 때 호남(湖南) 무릉의 한 어부가 배를 저어 복숭아꽃이 아름답게 핀 수원지로 올라가 굴속에서 진(秦)나라의 난리를 피하여 온 사람들을 만났는데, 그들은 하도 살기 좋아 그동안 바깥세상의 변천과 많은 세월이 지난 줄도 몰랐다고 한다. [ (桃: 복숭아나무 도) (源: 근원 원) ]
- 어초한화(漁焦閑話) : 어부(漁夫)와 나무꾼의 한가(閑暇)로운 이야기라는 뜻으로, 명리(名利)를 떠난 이야기를 이르는 말. [ (漁: 고기잡을 어) (焦: 그스를 초) (閑: 한가할 한) (話: 말할 화) ]
- 무릉도원(武陵桃源) : 도연명의 <도화원기>에 나오는 말로, 이상향, 별천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진(晉)나라 때 호남(湖南) 무릉의 한 어부가 배를 저어 복숭아꽃이 아름답게 핀 수원지로 올라가 굴속에서 진(秦)나라의 난리를 피하여 온 사람들을 만났는데, 그들은 하도 살기 좋아 그동안 바깥세상의 변천과 많은 세월이 지난 줄도 몰랐다고 한다. [ (武: 호반 무) (陵: 큰 언덕 릉) (桃: 복숭아나무 도) (源: 근원 원) ]
- 어부지용(漁夫之勇) : 물속에서 무서워하지 아니하는 어부의 용기라는 뜻으로, 오랜 체험에서 얻은 용기를 이르는 말. [ (漁: 고기잡을 어) (夫: 지아비 부) (之: 갈 지) (勇: 날랠 용) ]
[나무꾼]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어초한화(漁樵閑話) : 고기잡는 이와 나무하는 이의 한가한 이야기라는 뜻으로, 어부와 나무꾼의 한가한 이야기 같은 명리(名利)를 떠난 이야기를 이르는 말. [ (漁: 고기잡을 어) (樵: 땔나무 초) (閑: 한가할 한) (話: 말할 화) ]
- 어초한화(漁焦閑話) : 어부(漁夫)와 나무꾼의 한가(閑暇)로운 이야기라는 뜻으로, 명리(名利)를 떠난 이야기를 이르는 말. [ (漁: 고기잡을 어) (焦: 그스를 초) (閑: 한가할 한) (話: 말할 화) ]
- 난가(爛柯) : (1)'난가'의 북한어. (2)도낏자루가 썩는다는 뜻으로, 바둑 따위의 놀이에 정신이 팔려 세월 가는 줄 모름. 중국 진(晉)나라 때 왕질(王質)이라는 나무꾼이 두 동자가 바둑 두는 것을 구경하는 동안에 도낏자루가 썩어 버리고, 마을에 돌아오니 아는 사람이 다 죽었더라는 <술이기(述異記)>에 나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 (柯: 가지 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