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0월 16일 금요일

인과응보: 因果應報

인과응보 (因果應報) : 전생에 지은 선악에 따라 현재의 행과 불행이 있고, 현세에서의 선악의 결과에 따라 내세에서 행과 불행이 있는 일.



因果應報 한자 뜻 풀이

  • 因(인할 인) : 인하다, 말미암다, 의지하다, 유래하다, 잇닿다. 사방의 경계 안에서 사람의 행위는 반드시 분명한 '이유'가 있어야 한다는 의미에서 '인하다'는 뜻 생성
  • 果(실과 과) : 실과, 강신제(降神祭), 거북 이름, 나무의 열매, 해내다. 나뭇가지에 달린 열매의 모양에서 '과실' 생성. 후에 맺어진 결과물의 의미에서 '결과'의 뜻 파생
  • 應(응할 응) : 응하다, 승낙하다, 따라 움직이다, 화답하다, 조짐. 자신이 직접 '감당하다'는 의미에서 후에 '대답하다', '응답하다'나 '승낙하다' 등의 의미를 파생함. 鷹(응: 매)이 발음 역할
  • 報(갚을 보) : 갚다, 나아가다, 보답, 보복, 알리다. 본래 죄인을 잡아 다스린다는 의미에서 '갚다', '알리다'는 의미 생성. 신문의 '--일보(日報)'의 '報'는 '알리다'는 의미


[因] 인할 인 (인하다, 말미암다, 의지하다, 유래하다, 잇닿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결국원인 획순 이미지 결국원인(結局原因) : 어떤 판국의 결말을 결정하는 데 가장 가까운 원인. [ (: 맺을 결) (: 판 국) (: 언덕 원) (: 인할 인) ]
  • 낙시고인(樂是苦因) : 안락이 고통의 원인임을 이르는 말. [ (: 옳을 시) (: 쓸 고) (: 인할 인) ]
  • 악인악과(惡因惡果) : 나쁜 일을 하면 반드시 나쁜 결과가 따름. [ (: 악할 악) (: 인할 인) (: 악할 악) (: 실과 과) ]
  • 친불인매(親不因媒) : 부부(夫婦)의 의가 좋은 것은 중매(仲媒)에 의함이 아님. [ (: 친할 친) (: 아니 불) (: 인할 인) (: 중매 매) ]
  • 천생인연(天生因緣) : 하늘이 정하여 준 연분. [ (: 하늘 천) (: 날 생) (: 인할 인) (: 가선 연) ]

[報] 갚을 보 (갚다, 나아가다, 보답, 보복, 알리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경사중보 획순 이미지 경사중보(輕事重報) : 조그마한 일에 후한 답례(答禮)를 함. [ (: 가벼울 경) (: 일 사) (: 무거울 중) (: 갚을 보) ]
  • 음덕양보(陰德陽報) : 남이 모르게 덕행을 쌓은 사람은 뒤에 그 보답을 받게 됨을 이르는 말. [ (: 응달 음) (: 덕 덕) (: 볕 양) (: 갚을 보) ]
  • 보이국사(報以國士) : 남을 국사(國士)로 대우(待遇)하면 자기(自己)도 또한 국사(國士)로서 대접(待接)을 받는다는 뜻으로, 지기(知己)의 은혜(恩惠)에 감동(感動)함을 이르는 말. [ (: 갚을 보) (: 써 이) (: 나라 국) (: 선비 사) ]
  • 결사보국(決死報國) : 죽기를 각오하고 있는 힘을 다하여 나라의 은혜에 보답함. [ (: 틀 결) (: 죽을 사) (: 갚을 보) (: 나라 국) ]
  • 보본추원(報本追遠) : 조상의 은혜에 보답하는 뜻으로 그 음덕을 추모함. [ (: 갚을 보) (: 밑 본) (: 쫓을 추) (: 멀 원) ]

[應] 응할 응 (응하다, 승낙하다, 따라 움직이다, 화답하다, 조짐)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림기응변 획순 이미지 림기응변(臨機應變) : (1)그때그때 처한 사태에 맞추어 즉각 그 자리에서 결정하거나 처리함. (2)'임기응변'의 북한어. [ (: 베틀 기) (: 응할 응) (: 변할 변) ]
  • 응접무가(應接無暇) : 응접에 바빠 겨를이 없다는 뜻으로, 일이 몹시 바쁜 상태를 이르는 말. [ (: 응할 응) (: 사귈 접) (: 없을 무) (: 겨를 가) ]
  • 삼밀상응(三密相應) : 밀교에서, 행자(行者)의 몸ㆍ입ㆍ뜻의 삼밀이 부처의 삼밀과 상응하여 융합함을 이르는 말. [ (: 석 삼) (: 빽빽할 밀) (: 서로 상) (: 응할 응) ]
  • 순천응인(順天應人) : 하늘을 따르고 사람에 응한다는 뜻으로, 위로는 천명(天命)에 순응하고 아래로는 인심(人心)에 잘 응(應)한다는 의미. [ (: 순할 순) (: 하늘 천) (: 응할 응) (: 사람 인) ]
  • 감응납수(感應納受) : 사람의 불심(佛心)에 부처가 응답함으로써 부처와 중생이 긴밀히 맺어지는 일. [ (: 느낄 감) (: 응할 응) (: 들일 납) (: 받을 수) ]

[果] 실과 과 (실과, 강신제(降神祭), 거북 이름, 나무의 열매, 해내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독수독과 획순 이미지 독수독과(毒樹毒果) : 독이 든 나무의 열매에도 독이 있다는 뜻으로, 법에 어긋난 방법으로 얻은 증거는 증거로 인정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 (: 독 독) (: 나무 수) (: 독 독) (: 실과 과) ]
  • 주과포혜(酒果脯醯) : 술ㆍ과일ㆍ육포ㆍ식혜라는 뜻으로, 간략한 제물(祭物)을 이르는 말. [ (: 술 주) (: 실과 과) (: 포 포) (: 초 혜) ]
  • 석과불식(碩果不食) : 큰 과실을 다 먹지 아니하고 남긴다는 뜻으로, 자기만의 욕심을 버리고 자손에게 복을 줌을 이르는 말. [ (: 클 석) (: 실과 과) (: 아니 불) (: 밥 식) ]

[일]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천방지방 획순 이미지 천방지방(天方地方) : 너무 급하여 허둥지둥 함부로 날뛰는 모양. [ (: 하늘 천) (: 모 방) (: 땅 지) (: 모 방) ]
  • 가여낙성(可與樂成) : 더불어 성공을 즐길 수 있다는 뜻으로, 함께 일의 성공을 즐길 수 있음을 이르는 말. [ (: 옳을 가) (: 줄 여) (: 이룰 성) ]
  • 남우(濫竽) :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체하는 것이나 또는 실력이 없는 사람이 어떤 지위에 붙어 있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제(齊)나라 때에, 남곽이라는 사람이 생황을 불 줄 모르면서 악사(樂士)들 가운데에 끼어 있다가 한 사람씩 불게 하자 도망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 피리 우) ]
  • 희출망외(喜出望外) : 기대하지 아니하던 기쁜 일이 뜻밖에 생김. [ (: 기쁠 희) (: 날 출) (: 바랄 망) (: 바깥 외) ]
  • 감회(感懷) : 지난 일을 돌이켜 볼 때 느껴지는 회포. [ (: 느낄 감) (: 품을 회) ]

[행]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천불언이신 획순 이미지 천불언이신(天不言而信) : 하늘은 말하지 않아도 믿는다는 뜻으로, 하늘은 그 행하는 바가 떳떳하여 틀림이 없음을 이르는 말. [ (: 하늘 천) (: 아니 불) (: 말씀 언) (: 말 이을 이) (: 믿을 신) ]
  • 낙이망우(樂而忘憂) : 즐겨서 시름을 잊는다는 뜻으로, 도(道)를 행(行)하기를 즐거워하여 가난 따위의 근심을 잊는다는 말. [ (: 말 이을 이) (: 잊을 망) (: 근심 우) ]
  • 탁마(琢磨) : (1)옥이나 돌 따위를 쪼고 갊. (2)학문이나 덕행 따위를 닦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쫄 탁) (: 갈 마) ]
  • 사기종인(舍己從人) : 자기(自己)의 이전(以前) 행위(行爲)를 버리고 타인(他人)의 선행(善行)을 본떠 행(行)함. [ (: 둘 사) (: 몸 기) (: 좇을 종) (: 사람 인) ]
  • 선양방벌(禪讓放伐) : 덕을 잃고 악정을 행하는 임금은 내쳐도 거리낄 바 없다는 중국의 역성혁명관. [ (: 봉선 선) (: 사양할 양) (: 놓을 방) (: 칠 벌) ]

[결과]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모사재인 획순 이미지 모사재인(謀事在人) : 일을 꾸미는 것은 사람에게 달렸다는 뜻으로, 결과는 하늘에 맡기고 일을 힘써 꾀하여야 함을 이르는 말. [ (: 꾀할 모) (: 일 사) (: 있을 재) (: 사람 인) ]
  • 적선여경(積善餘慶) : 착한 일을 많이 한 결과로 경사스럽고 복된 일이 자손에게까지 미침. ≪주역≫의 <문언전(文言傳)>에 나오는 말이다. [ (: 쌓을 적) (: 착할 선) (: 남을 여) (: 경사 경) ]
  • 제간하회(第看下回) : 나중에 결과가 나타나게 되는 일. [ (: 차례 제) (: 볼 간) (: 아래 하) (: 돌 회) ]
  • 지성감천(至誠感天) : 지극한 정성은 하늘을 감동시킨다는 뜻으로, 무슨 일에든 정성을 다하면 아주 어려운 일도 순조롭게 풀리어 좋은 결과를 맺을 수 있다는 말. [ (: 이를 지) (: 정성 성) (: 느낄 감) (: 하늘 천) ]
  • 연도일할(鉛刀一割) : (1)납으로 만든 칼도 한 번은 자를 힘이 있다는 뜻으로, 자기의 힘이 없음을 겸손하게 이르는 말. (2)다시는 쓰지 못함을 이르는 말. (3)우연히 얻게 된 공명이나 영예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납 연) (: 칼 도) (: 한 일) (: 나눌 할) ]

[과보]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자력회향 획순 이미지 자력회향(自力回向) : 자신이 얻은 수행의 공덕을 남에게 베풀어서 과보(果報)를 얻으려는 일. [ (: 스스로 자) (: 힘 력) (: 돌 회) (: 향할 향) ]
  • 무간죄보(無間罪報) : 한없는 죄악에 대한 과보. [ (: 없을 무) (: 틈 간) (: 허물 죄) (: 갚을 보) ]
  • 탑사견고(塔寺堅固) : 오오백년(五五百年)의 네 번째 오백 년. 수행과 증과(證果)는 없지만 좋은 과보(果報)를 받으려고 절이나 탑을 많이 세우는 시기이다. [ (: 탑 탑) (: 절 사) (: 굳을 견) (: 굳을 고) ]
  • 자작자수(自作自受) : 자기가 저지른 죄로 자기가 그 악과(惡果)를 받음. [ (: 스스로 자) (: 지을 작) (: 스스로 자) (: 받을 수) ]
  • 자업자득(自業自得) : 자기가 저지른 일의 결과를 자기가 받음. [ (: 스스로 자) (: 업 업) (: 스스로 자) (: 얻을 득) ]

[그것]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박인방증 획순 이미지 박인방증(博引旁證) : 널리 예(例)를 인용하고 두루 증거를 보여 논함. [ (: 넓을 박) (: 당길 인) (: 곁 방) (: 증거 증) ]
  • 온고지신(溫故知新) : 옛것을 익히고 그것을 미루어서 새것을 앎. ≪논어≫의 <위정편(爲政篇)>에 나오는 공자의 말이다. [ (: 따뜻할 온) (: 예 고) (: 알 지) (: 새 신) ]
  • 견물생심(見物生心) : 어떠한 실물을 보게 되면 그것을 가지고 싶은 욕심이 생김. [ (: 볼 견) (: 만물 물) (: 날 생) (: 마음 심) ]

[불교]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무진장 획순 이미지 무진장(無盡藏) : (1)다함이 없이 굉장히 많음. (2)덕이 넓어 끝이 없음. 닦고 닦아도 다함이 없는 법의(法義)를 이른다. [ (: 없을 무) (: 다할 진) (: 감출 장) ]
  • 제행무상(諸行無常) : 우주의 모든 사물은 늘 돌고 변하여 한 모양으로 머물러 있지 아니함. [ (: 모든 제) (: 갈 행) (: 없을 무) (: 항상 상) ]
  • 이심전심(以心傳心) : 마음과 마음으로 서로 뜻이 통함. ≪전등록≫에 나오는 말로 원래는 불교의 법통을 계승할 때에 쓰였다. [ (: 써 이) (: 마음 심) (: 전할 전) (: 마음 심) ]
  • 적멸지도(寂滅之道) : 열반에 이르는 도리라는 뜻으로, '불교'를 달리 이르는 말. [ (: 고요할 적) (: 멸망할 멸) (: 갈 지) (: 길 도) ]
  • 애별리고(愛別離苦) : 팔고(八苦)의 하나. 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지는 괴로움을 이른다. [ (: 사랑 애) (: 나눌 별) (: 떠날 리) (: 쓸 고) ]

[불행]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설상가상 획순 이미지 설상가상(雪上加霜) : 눈 위에 서리가 덮인다는 뜻으로, 난처한 일이나 불행한 일이 잇따라 일어남을 이르는 말. [ (: 눈 설) (: 위 상) (: 더할 가) (: 서리 상) ]
  • 평지낙상(平地落傷) : 평지에서 넘어져 다친다는 뜻으로, 뜻밖에 불행한 일을 겪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평평할 평) (: 땅 지) (: 다칠 상) ]
  • 횡액(橫厄) : 뜻밖에 닥쳐오는 불행. [ (: 가로 횡) (: 재앙 액) ]
  • 토사호비(兎死狐悲) : 토끼가 죽으니 여우가 슬퍼한다는 뜻으로, 동류(同類)가 서로 동정(同情)함을 이르는 말. [ (: 토끼 토) (: 죽을 사) (: 여우 호) (: 슬플 비) ]
  • 호사토읍(狐死兎泣) : 여우의 죽음에 토끼가 운다는 뜻으로, 동류(同類)를 슬퍼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 여우 호) (: 죽을 사) (: 토끼 토) (: 울 읍) ]

[선악]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청탁병탄 획순 이미지 청탁병탄(淸濁倂呑) : 맑은 것과 탁한 것을 함께 삼킨다는 뜻으로, (1) 선악(善惡)을 가리지 않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임 (2) 도량(度量)이 큼을 이르는 말. [ (: 맑을 청) (: 흐릴 탁) (: 아우를 병) (: 삼킬 탄) ]
  • 선악불이(善惡不二) : 선악은 모두 인연에 의하여 생긴 것으로 각각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평등 무차별한 하나의 이치로 돌아간다는 말. [ (: 착할 선) (: 악할 악) (: 아니 불) (: 두 이) ]
  • 동성이속(同聲異俗) : 사람이 날 때는 다 같은 소리를 가지고 있으나, 자라면서 그 나라의 풍속으로 인해 서로 달라짐을 이르는 말. [ (: 한가지 동) (: 소리 성) (: 다를 이) (: 풍속 속) ]
  • 선악지보(善惡之報) : 선악에 대한 응보(應報). [ (: 착할 선) (: 악할 악) (: 갈 지) (: 갚을 보) ]
  • 오지자웅(烏之雌雄) : 까마귀의 암수를 구별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선악과 시비를 가리기 어려운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까마귀 오) (: 갈 지) (: 암컷 자) (: 수컷 웅) ]

[용어]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제행무상 획순 이미지 제행무상(諸行無常) : 우주의 모든 사물은 늘 돌고 변하여 한 모양으로 머물러 있지 아니함. [ (: 모든 제) (: 갈 행) (: 없을 무) (: 항상 상) ]
  • 화이부실(華而不實) : 꽃은 화려하나 열매를 맺지 못한다는 뜻으로, 겉모습은 그럴 듯하지만 실속이 없음을 이르는 말. ≪춘추좌씨전≫에 나오는 말이다. [ (: 빛날 화) (: 말 이을 이) (: 아닌가 부) (: 열매 실) ]
  • 불립문자(不立文字) : 불도의 깨달음은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하는 것이므로 말이나 글에 의지하지 않는다는 말. [ (: 아니 불) (: 설 립) (: 글월 문) (: 글자 자) ]
  • 불혹지년(不惑之年) : 불혹의 나이라는 뜻으로, '마흔 살'을 이르는 말. [ (: 아니 불) (: 미혹할 혹) (: 갈 지) (: 해 년) ]
  • 도광양회(韜光養晦) : 자신의 재능(才能)이나 명성(名聲)을 드러내지 않고 참고 기다린다는 뜻으로, 1980년대 중국(中國)의 대외(對外) 정책(政策)을 일컫는 용어(用語). [ (: 감출 도) (: 빛 광) (: 기를 양) (: 그믐 회) ]

[원인]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결국원인 획순 이미지 결국원인(結局原因) : 어떤 판국의 결말을 결정하는 데 가장 가까운 원인. [ (: 맺을 결) (: 판 국) (: 언덕 원) (: 인할 인) ]
  • 결자해지(結者解之) : 맺은 사람이 풀어야 한다는 뜻으로, 자기가 저지른 일은 자기가 해결하여야 함을 이르는 말. [ (: 맺을 결) (: 놈 자) (: 풀 해) (: 갈 지) ]
  • 격화소양(隔靴搔瘍) : 신발 위로 발의 무좀을 긁는다는 뜻으로, 원인 치유를 하지 못하고 변죽만 울린다는 의미. 혹은 마음에 차지 않는다는 의미. [ (: 사이 뜰 격) (: 가죽신 화) (: 긁을 소) (: 종기 양) ]
  • 낙시고인(樂是苦因) : 안락이 고통의 원인임을 이르는 말. [ (: 옳을 시) (: 쓸 고) (: 인할 인) ]
  • 복과화생(福過禍生) : 지나친 행복(幸福)은 도리어 재앙(災殃)의 원인(原因)이 됨. [ (: 복 복) (: 지날 과) (: 재난 화) (: 날 생) ]

[자신]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자수성가 획순 이미지 자수성가(自手成家) : 물려받은 재산이 없이 자기 혼자의 힘으로 집안을 일으키고 재산을 모음. [ (: 스스로 자) (: 손 수) (: 이룰 성) (: 집 가) ]
  • 개과천선(改過遷善) : 지난날의 잘못이나 허물을 고쳐 올바르고 착하게 됨. [ (: 고칠 개) (: 지날 과) (: 옮길 천) (: 착할 선) ]
  • 자력회향(自力回向) : 자신이 얻은 수행의 공덕을 남에게 베풀어서 과보(果報)를 얻으려는 일. [ (: 스스로 자) (: 힘 력) (: 돌 회) (: 향할 향) ]
  • 망아지경(忘我之境) : 어떤 사물에 마음을 빼앗겨 자기 자신을 잊어버리는 경지. [ (: 잊을 망) (: 나 아) (: 갈 지) (: 지경 경) ]
  • 조각(爪角) : 짐승의 발톱과 뿔이라는 뜻으로, 자신을 적으로부터 보호하여 주는 물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손톱 조) (: 뿔 각) ]

[전생]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전생연분 획순 이미지 전생연분(全生緣分) : 전생(前生)에서 이미 맺은 연분. [ (: 온전할 전) (: 날 생) (: 가선 연) (: 나눌 분) ]
  • 윤회전생(輪廻轉生) : 수레바퀴가 끊임없이 구르는 것과 같이, 중생이 번뇌와 업에 의하여 삼계 육도(三界六道)의 생사 세계를 그치지 아니하고 돌고 도는 일. [ (: 돌 회) (: 구를 전) (: 날 생) ]
  • 격세즉망(隔世卽忘) : 사람이 이 세상에 다시 태어날 때는 전생의 일을 모두 잊어버린다는 말. [ (: 사이 뜰 격) (: 인간 세) (: 곧 즉) (: 잊을 망) ]
  • 타생지연(他生之緣) : 타생의 인연(因緣)이라는 뜻으로, 불교(佛敎)에서 낯모르는 사람끼리 길에서 소매를 스치는 것 같은 사소(些少)한 일이라도 모두가 전생(前生)의 깊은 인연(因緣)에 의(依)한 것임을 이르는 말. [ (: 다를 타) (: 날 생) (: 갈 지) (: 가선 연) ]
  • 참회멸죄(懺悔滅罪) : 참회의 공덕으로 전생에 지은 죄를 없앰. [ (: 뉘우칠 참) (: 뉘우칠 회) (: 멸망할 멸) (: 허물 죄) ]

[현세]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변역생사 획순 이미지 변역생사(變易生死) : 보살이 삼계(三界)의 윤회를 떠난 뒤 성불하기까지 그 원력(願力)에 의하여 현세에 나타나서 일부러 받는 생사. 미계(迷界)와 오계(悟界)의 경계를 지나가는 상태를 이른다. [ (: 변할 변) (: 바꿀 역) (: 날 생) (: 죽을 사) ]
  • 멸죄생선(滅罪生善) : 현재의 죄장(罪障)을 없애고 후세의 선근(善根)을 일으킴. 또는 그런 일. [ (: 멸망할 멸) (: 허물 죄) (: 날 생) (: 착할 선) ]
  • 인과응보(因果應報) : 전생에 지은 선악에 따라 현재의 행과 불행이 있고, 현세에서의 선악의 결과에 따라 내세에서 행과 불행이 있는 일. [ (: 인할 인) (: 실과 과) (: 응할 응) (: 갚을 보) ]
  • 삼생연분(三生緣分) : 삼생을 두고 끊어지지 않을 깊은 인연. 부부간의 인연을 이른다. [ (: 석 삼) (: 날 생) (: 가선 연) (: 나눌 분)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