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유괘표 (許由掛瓢) : 허유가 나뭇가지에 표주박을 걸었다가 시끄러워서 떼어버렸다는 뜻으로, 속세(俗世)를 떠나 청렴(淸廉)하게 살아가는 모양(模樣)을 이름.
許由掛瓢 한자 뜻 풀이
- 許(허락할 허) : 허락하다, 이영차, 여러 사람들이 무거운 물건을 들 때나 옮길 때 지르는 소리, 일설에는, 나무를 벨 때 도끼밥이 떨어져 내리는 모양, 나아가다.
- 由(말미암을 유) : 말미암다, …에서, 까닭, 쓰다, 행하다. 밭의 구획 경계선의 기점을 표시해서 그것으로 '말미암다'는 의미를 생성함
- 掛(걸 괘) : 걸다.
- 瓢(박 표) : 박, 박으로 만든 그릇, 구기, 구기의 총칭, 바가지. 박이나 박으로 만든 그릇의 의미. 票(표)는 발음
[掛] 걸 괘 (걸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허유괘표(許由掛瓢) : 허유가 나뭇가지에 표주박을 걸었다가 시끄러워서 떼어버렸다는 뜻으로, 속세(俗世)를 떠나 청렴(淸廉)하게 살아가는 모양(模樣)을 이름. [ (許: 허락할 허) (由: 말미암을 유) (掛: 걸 괘) (瓢: 박 표) ]
- 부족괘치(不足掛齒) : 말할 가치가 없음. [ (不: 아닌가 부) (足: 발 족) (掛: 걸 괘) (齒: 이 치) ]
- 계찰괘검(季札掛劍) : 계찰(季札)이 검을 걸어 놓다는 뜻으로, 신의(信義)를 중(重)히 여김. [ (季: 끝 계) (札: 패 찰) (掛: 걸 괘) (劍: 칼 검) ]
- 촌사불괘(寸絲不掛) : 실오라기 하나도 몸에 걸치지 아니하였다는 뜻으로, 조금도 마음에 걸림이 없음을 이르는 말. [ (寸: 마디 촌) (絲: 실 사) (不: 아니 불) (掛: 걸 괘) ]
[瓢] 박 표 (박, 박으로 만든 그릇, 구기, 구기의 총칭, 바가지)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단사표음(簞食瓢飮) : 대나무로 만든 밥그릇에 담은 밥과 표주박에 든 물이라는 뜻으로, 청빈하고 소박한 생활을 이르는 말. [ (簞: 대광주리 단) (食: 밥 사) (瓢: 박 표) (飮: 마실 음) ]
- 누항단표(陋巷簞瓢) : (1)'누항단표'의 북한어. (2)누항에서 먹는 한 그릇의 밥과 한 바가지의 물이라는 뜻으로, 선비의 청빈한 생활을 이르는 말. [ (巷: 거리 항) (簞: 대광주리 단) (瓢: 박 표) ]
- 허유괘표(許由掛瓢) : 허유가 나뭇가지에 표주박을 걸었다가 시끄러워서 떼어버렸다는 뜻으로, 속세(俗世)를 떠나 청렴(淸廉)하게 살아가는 모양(模樣)을 이름. [ (許: 허락할 허) (由: 말미암을 유) (掛: 걸 괘) (瓢: 박 표) ]
- 패표착풍(佩瓢捉風) : 바가지를 차고 바람을 잡는다는 뜻으로, 일이 이루어지지 아니할 것을 뻔히 알면서도 헛되이 하려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佩: 찰 패) (瓢: 박 표) (捉: 잡을 착) (風: 바람 풍) ]
- 단표누항(簞瓢陋巷) : 누항에서 먹는 한 그릇의 밥과 한 바가지의 물이라는 뜻으로, 선비의 청빈한 생활을 이르는 말. [ (簞: 대광주리 단) (瓢: 박 표) (巷: 거리 항) ]
[由] 말미암을 유 (말미암다, …에서, 까닭, 쓰다, 행하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행불유경(行不由徑) : 길을 가는데 지름길을 말미암지 않는다는 뜻으로, 행동을 공명정대(公明正大)하게 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行: 갈 행) (不: 아니 불) (由: 말미암을 유) (徑: 지름길 경) ]
- 자유자재(自由自在) : 거침없이 자기 마음대로 할 수 있음. [ (自: 스스로 자) (由: 말미암을 유) (自: 스스로 자) (在: 있을 재) ]
- 자유방임(自由放任) : (1)각자의 자유에 맡겨 간섭하지 아니함. (2)경제 정책에서, 국가의 간섭을 제한하고 사유 재산과 기업의 자유 활동을 지지하는 주장. [ (自: 스스로 자) (由: 말미암을 유) (放: 놓을 방) (任: 맡길 임) ]
- 허유괘표(許由掛瓢) : 허유가 나뭇가지에 표주박을 걸었다가 시끄러워서 떼어버렸다는 뜻으로, 속세(俗世)를 떠나 청렴(淸廉)하게 살아가는 모양(模樣)을 이름. [ (許: 허락할 허) (由: 말미암을 유) (掛: 걸 괘) (瓢: 박 표) ]
- 유래지풍(由來之風) : 예로부터 전하여 오는 풍속. [ (由: 말미암을 유) (來: 올 래) (之: 갈 지) (風: 바람 풍) ]
[許] 허락할 허 (허락하다, 이영차, 여러 사람들이 무거운 물건을 들 때나 옮길 때 지르는 소리, 일설에는, 나무를 벨 때 도끼밥이 떨어져 내리는 모양, 나아가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허유괘표(許由掛瓢) : 허유가 나뭇가지에 표주박을 걸었다가 시끄러워서 떼어버렸다는 뜻으로, 속세(俗世)를 떠나 청렴(淸廉)하게 살아가는 모양(模樣)을 이름. [ (許: 허락할 허) (由: 말미암을 유) (掛: 걸 괘) (瓢: 박 표) ]
- 면허개전(免許皆傳) : 스승이 예술(藝術)이나 무술(武術)의 깊은 뜻을 모두 제자(弟子)에게 전(傳)해 줌을 이르는 말. [ (免: 벗어날 면) (許: 허락할 허) (皆: 다 개) (傳: 전할 전) ]
[모양]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천방지방(天方地方) : 너무 급하여 허둥지둥 함부로 날뛰는 모양. [ (天: 하늘 천) (方: 모 방) (地: 땅 지) (方: 모 방) ]
- 곡미풍협(曲眉豊頰) : 굽은 눈썹과 풍만한 뺨이라는 뜻으로, 초승달 모양의 눈썹과 통통하게 살이 붙은 탐스러운 뺨이란 뜻으로, 고전적 동양 미인의 얼굴을 이르는 말. [ (曲: 굽을 곡) (眉: 눈썹 미) (豊: 풍년 풍) (頰: 뺨 협) ]
- 산용수상(山容水相) : 산의 솟은 모양과 물의 흐르는 모양이라는 뜻으로, 산천의 형세를 이르는 말. [ (山: 메 산) (容: 얼굴 용) (水: 물 수) (相: 서로 상) ]
- 수여비봉(首如飛蓬) : 머리가 날리는 쑥대 같다는 뜻으로, 머리털의 흐트러진 모양을 쑥의 흐트러진 모양에 견주어 이르는 말. [ (首: 머리 수) (如: 같을 여) (飛: 날 비) (蓬: 쑥 봉) ]
- 노발충관(怒髮衝冠) : 노하여 일어선 머리카락이 관을 추켜올린다는 뜻으로, 몹시 성이 난 모양을 이르는 말. [ (怒: 성낼 노) (髮: 터럭 발) (衝: 찌를 충) (冠: 갓 관) ]
[속세]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산림처사(山林處士) : 벼슬을 하지 않고 세속을 떠나 산골에 파묻혀 글이나 읽고 지내는 선비. [ (山: 메 산) (林: 수풀 림) (處: 머무를 처) (士: 선비 사) ]
- 능운지지(凌雲之志) : 높은 구름을 훨씬 넘는 뜻이라는 말로, (1) 속세(俗世)에 초연(超然)한 태도(態度) (2) 속세(俗世)를 떠나서 초탈(超脫)하려는 마음. [ (雲: 구름 운) (之: 갈 지) (志: 뜻 지) ]
- 허유괘표(許由掛瓢) : 허유가 나뭇가지에 표주박을 걸었다가 시끄러워서 떼어버렸다는 뜻으로, 속세(俗世)를 떠나 청렴(淸廉)하게 살아가는 모양(模樣)을 이름. [ (許: 허락할 허) (由: 말미암을 유) (掛: 걸 괘) (瓢: 박 표) ]
[이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무하지증(無何之症) : 병명을 몰라서 고칠 수 없는 병. [ (無: 없을 무) (何: 어찌 하) (之: 갈 지) (症: 증세 증) ]
- 화관무직(華官膴職) : 이름이 높고 봉록이 많은 벼슬. [ (華: 빛날 화) (官: 벼슬 관) (膴: 포 무) (職: 벼슬 직) ]
- 초목구후(草木俱朽) : 초목과 함께 썩는다는 뜻으로, 세상에 이름을 남기지 못하고 죽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草: 풀 초) (木: 나무 목) (俱: 함께 구) (朽: 썩을 후) ]
- 제이면명(提耳面命) : 귀에 입을 가까이하고 얼굴을 맞대고 가르쳐 명함. 또는 간곡히 타이르고 가르침. [ (提: 끌 제) (耳: 귀 이) (面: 낯 면) (命: 목숨 명) ]
- 명경불피(明鏡不疲) : 맑은 거울은 아무리 사람을 비추어도 피로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맑은 지혜와 슬기는 아무리 많이 써도 손상되지 않음을 비유하는 말. [ (明: 밝을 명) (鏡: 거울 경) (不: 아니 불) (疲: 피곤할 피) ]
[청렴]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일진불염(一塵不染) : (1)토지가 깨끗함. (2)절조가 깨끗함. (3)문장 따위가 뛰어나게 맑고 아름다움. (4)모든 것이 맑고 깨끗함. (5)티끌만큼도 물욕에 물들어 있지 아니함. [ (一: 한 일) (塵: 티끌 진) (不: 아니 불) (染: 물들일 염) ]
- 양수청풍(兩袖淸風) : 두 소매에 맑은 바람이라는 뜻으로, 양 손 모두 깨끗함을 유지하고 있는 관리의 청렴결백(淸廉潔白)함을 이르는 말. [ (袖: 소매 수) (淸: 맑을 청) (風: 바람 풍) ]
- 허유괘표(許由掛瓢) : 허유가 나뭇가지에 표주박을 걸었다가 시끄러워서 떼어버렸다는 뜻으로, 속세(俗世)를 떠나 청렴(淸廉)하게 살아가는 모양(模樣)을 이름. [ (許: 허락할 허) (由: 말미암을 유) (掛: 걸 괘) (瓢: 박 표) ]
- 원청유청(源淸流淸) : 근원 물이 맑으면 흐르는 물도 맑다는 뜻으로, 윗물이 맑으면 아랫물이 맑듯이 윗사람이 청렴하면 아랫사람도 청렴해짐을 비유해서 이르는 말. [ (源: 근원 원) (淸: 맑을 청) (淸: 맑을 청) ]
- 청백리(淸白吏) : (1)재물에 대한 욕심이 없이 곧고 깨끗한 관리. (2)조선 시대에, 이품 이상의 당상관과 사헌부ㆍ사간원의 수직(首職)들이 추천하여 뽑던 청렴한 벼슬아치. [ (淸: 맑을 청) (白: 흰 백) (吏: 벼슬아치 리) ]
[표주박]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단사표음(簞食瓢飮) : 대나무로 만든 밥그릇에 담은 밥과 표주박에 든 물이라는 뜻으로, 청빈하고 소박한 생활을 이르는 말. [ (簞: 대광주리 단) (食: 밥 사) (瓢: 박 표) (飮: 마실 음) ]
- 허유괘표(許由掛瓢) : 허유가 나뭇가지에 표주박을 걸었다가 시끄러워서 떼어버렸다는 뜻으로, 속세(俗世)를 떠나 청렴(淸廉)하게 살아가는 모양(模樣)을 이름. [ (許: 허락할 허) (由: 말미암을 유) (掛: 걸 괘) (瓢: 박 표) ]
- 패표착풍(佩瓢捉風) : 바가지를 차고 바람을 잡는다는 뜻으로, 일이 이루어지지 아니할 것을 뻔히 알면서도 헛되이 하려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佩: 찰 패) (瓢: 박 표) (捉: 잡을 착) (風: 바람 풍) ]
- 단표누항(簞瓢陋巷) : 누항에서 먹는 한 그릇의 밥과 한 바가지의 물이라는 뜻으로, 선비의 청빈한 생활을 이르는 말. [ (簞: 대광주리 단) (瓢: 박 표) (巷: 거리 항) ]
[나뭇가지]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동근연지(同根連枝) : 같은 뿌리와 잇닿은 나뭇가지라는 뜻으로, 형제(兄弟), 자매(姉妹)를 일컫는 말. [ (同: 한가지 동) (根: 뿌리 근) (枝: 가지 지) ]
- 절지지이(折枝之易) : 나뭇가지를 꺾는 것과 같이 쉽다는 뜻으로, 대단히 용이(容易)한 일을 이르는 말. [ (折: 꺾을 절) (枝: 가지 지) (之: 갈 지) (易: 쉬울 이) ]
- 허유괘표(許由掛瓢) : 허유가 나뭇가지에 표주박을 걸었다가 시끄러워서 떼어버렸다는 뜻으로, 속세(俗世)를 떠나 청렴(淸廉)하게 살아가는 모양(模樣)을 이름. [ (許: 허락할 허) (由: 말미암을 유) (掛: 걸 괘) (瓢: 박 표) ]
- 추지대엽(麤枝大葉) : 거친 가지와 큰 잎이라는 뜻으로, 굵고 거친 나뭇가지와 큰 잎사귀처럼 문장(文章) 옹졸하거나 자잘하지 않고 자유분방하게 쓰는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麤: 거칠 추) (枝: 가지 지) (大: 큰 대) (葉: 잎 엽) ]
- 주지육림(酒池肉林) : 술로 연못을 이루고 고기로 숲을 이룬다는 뜻으로, 호사스러운 술잔치를 이르는 말. 중국 은나라 주왕이 못을 파 술을 채우고 숲의 나뭇가지에 고기를 걸어 잔치를 즐겼던 일에서 유래한다. [ (酒: 술 주) (池: 못 지) (肉: 고기 육) (林: 수풀 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