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9월 11일 금요일

고분지통: 叩盆之痛

고분지통 (叩盆之痛) : 고분지통(鼓盆之痛). 아내가 죽은 설움을 한문투(漢文-)로 이르는 말.



叩盆之痛 한자 뜻 풀이

  • 叩(두드릴 고) : 두드리다, 조아리다, 잡아당기다, 묻다, 툭툭 침. 본래 '묻다'는 의미에서 파생되어 '잇달아 치다'는 의미의 '두드리다'나 '잡아당기다'는 의미 생성
  • 盆(동이 분) : 동이, 물이 솟다, 밥 짓는 그릇, 소금 굽는 그릇, 목욕통. 물이나 술 등을 담는 '동이'의 의미. '分(분)'은 발음.
  • 之(갈 지) : 가다, 변하여 가다, 이용하다, 끼치다, 걸어가다. 대지에 풀이 돋아나 자라는 모양에서 '가다' 의미 파생. 문장 속에서 어조사로 사용되거나 대명사 역할을 하기도 함
  • 痛(아플 통) : 아프다, 괴롭히다, 괴로움, 몹시, 힘껏. '疒(녁)' 부수로 질병과 관련된 의미 생성. 疾病(질병)으로 '아프다'는 뜻 생성. 甬은 발음 요소


[之] 갈 지 (가다, 변하여 가다, 이용하다, 끼치다, 걸어가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살활지권 획순 이미지 살활지권(殺活之權) : 살리고 죽일 수 있는 권리. [ (: 죽일 살) (: 살 활) (: 갈 지) (: 저울추 권) ]
  • 문경지우(刎頸之友) : 서로를 위해서라면 목이 잘린다 해도 후회하지 않을 정도의 사이라는 뜻으로, 생사를 같이할 수 있는 아주 가까운 사이, 또는 그런 친구를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인상여(藺相如)와 염파(廉頗)의 고사에서 유래하였다. [ (: 목 벨 문) (: 목 경) (: 갈 지) (: 벗 우) ]
  • 풍목지비(風木之悲) : 효도를 다하지 못한 채 어버이를 여읜 자식의 슬픔을 이르는 말. [ (: 바람 풍) (: 나무 목) (: 갈 지) (: 슬플 비) ]
  • 칠보지재(七步之才) :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을 만한 재주라는 뜻으로, 아주 뛰어난 글재주를 이르는 말. 중국 위나라의 시인 조식(曹植)이 형 조비(曹丕)의 명에 따라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 일곱 칠) (: 걸을 보) (: 갈 지) (: 재주 재) ]

[叩] 두드릴 고 (두드리다, 조아리다, 잡아당기다, 묻다, 툭툭 침)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고분지통 획순 이미지 고분지통(叩盆之痛) : 고분지통(鼓盆之痛). 아내가 죽은 설움을 한문투(漢文-)로 이르는 말. [ (: 두드릴 고) (: 동이 분) (: 갈 지) (: 아플 통) ]
  • 고마이간(叩馬而諫) : 말을 붙들고 간언한다는 뜻으로, 충신의 간언(諫言)을 의미함. [ (: 두드릴 고) (: 말 마) (: 말 이을 이) (: 간할 간) ]
  • 고사(叩謝) : (1)머리를 조아려서 고마운 마음을 나타냄. (2)머리를 조아려서 죄를 빎. [ (: 두드릴 고) (: 사례할 사) ]

[痛] 아플 통 (아프다, 괴롭히다, 괴로움, 몹시, 힘껏)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가통지사 획순 이미지 가통지사(可痛之事) : 통탄할 만한 일. [ (: 옳을 가) (: 아플 통) (: 갈 지) (: 일 사) ]
  • 앙천통곡(仰天痛哭) : 하늘을 쳐다보며 몹시 욺. [ (: 우러를 앙) (: 하늘 천) (: 아플 통) (: 울 곡) ]
  • 포통서하(抱痛西河) : 서하에서 고통을 품는다는 뜻으로, 공자의 제자 자하(子夏)가 서하에 있을 때, 그의 아들을 잃고 너무 비통한 나머지 실명한 고사에서 유래되어 자식을 잃고 슬퍼하는 일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 (: 안을 포) (: 아플 통) (西: 서녘 서) (: 강 이름 하) ]
  • 약발통치(若拔痛齒) : 마치 앓던 이가 빠진 것 같다는 뜻으로, 걱정을 끼치던 것이 없어져 아주 시원하다는 의미. [ (: 같을 약) (: 뺄 발) (: 아플 통) (: 이 치) ]
  • 고분지통(叩盆之痛) : 고분지통(鼓盆之痛). 아내가 죽은 설움을 한문투(漢文-)로 이르는 말. [ (: 두드릴 고) (: 동이 분) (: 갈 지) (: 아플 통) ]

[盆] 동이 분 (동이, 물이 솟다, 밥 짓는 그릇, 소금 굽는 그릇, 목욕통)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고분지통 획순 이미지 고분지통(叩盆之痛) : 고분지통(鼓盆之痛). 아내가 죽은 설움을 한문투(漢文-)로 이르는 말. [ (: 두드릴 고) (: 동이 분) (: 갈 지) (: 아플 통) ]
  • 고분지통(鼓盆之痛) : 물동이를 두드리는 슬픔이라는 뜻으로, 아내가 죽은 슬픔을 이르는 말. [ (: 북 고) (: 동이 분) (: 갈 지) (: 아플 통) ]
  • 도자용결분(陶者用缺盆) : 도공(陶工)은 깨진 동이만 사용(使用)한다는 뜻으로, 남을 위(爲)해서는 하지만 자기(自己)를 위(爲)해서는 하지 못함을 두고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 질그릇 도) (: 놈 자) (: 쓸 용) (: 이지러질 결) (: 동이 분) ]
  • 고분지탄(叩盆之嘆) : 아내가 죽은 한탄(恨歎)을 한문투(漢文-)로 이르는 말. [ (: 두드릴 고) (: 동이 분) (: 갈 지) (: 탄식할 탄) ]
  • 대분망천(戴盆望天) : 머리에 동이를 이고 하늘을 바라보려 한다는 뜻으로, 한 번에 두 가지 일을 함께 하기 어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일 대) (: 동이 분) (: 바랄 망) (: 하늘 천) ]

[아내]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장인 획순 이미지 장인(丈人) : (1)아내의 아버지. (2)아내의 아버지를 이르는 말. (3)늙은이를 이르는 말. (4)죽은 할아버지를 이르는 말. (5)덕이 많고 학식이 많은 사람. (6)아버지의 벗. [ (: 어른 장) (: 사람 인) ]
  • 사가망처(徙家忘妻) : 이사를 갈 때 아내를 잊고 두고 간다는 뜻으로, 무엇을 잘 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옮길 사) (: 집 가) (: 잊을 망) (: 아내 처) ]
  • 매처학자(梅妻鶴子) : 유유자적한 풍류 생활을 이르는 말. 중국 송나라의 임포(林逋)가 서호(西湖)에 은거하면서, 처자도 없이 오직 매화를 심고 학을 기르며 생활을 즐겼다는 데서 유래한다. [ (: 매화나무 매) (: 아내 처) (: 학 학) (: 아들 자) ]
  • 악옹(岳翁) : 아내의 아버지. [ (: 큰산 악) (: 늙은이 옹) ]
  • 삼종숙모(三從叔母) : 삼종숙의 아내. [ (: 석 삼) (: 좇을 종) (: 아재비 숙) (: 어미 모) ]

[한문투]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고분지통 획순 이미지 고분지통(叩盆之痛) : 고분지통(鼓盆之痛). 아내가 죽은 설움을 한문투(漢文-)로 이르는 말. [ (: 두드릴 고) (: 동이 분) (: 갈 지) (: 아플 통) ]
  • 경복(敬復) : 경복(敬覆). 공경(恭敬)하여 삼가 답장(答狀)한다는 뜻으로, 주(主)로 한문투(漢文-)의 회답(回答) 편지(便紙) 첫머리에 쓰는 말. [ (: 공경 경) (: 회복할 복) ]
  • 경복(敬覆) : 경복(敬復). 공경(恭敬)하여 삼가 답장(答狀)한다는 뜻으로, 주로 한문투(漢文-)의 회답(回答) 편지(便紙) 첫머리에 쓰는 말. [ (: 공경 경) (: 뒤집힐 복) ]
  • 복창(伏悵) : 주로 편지글에서, 마음에 섭섭하고 궁금하게 여긴다는 뜻으로 손윗사람에게 쓰는 말. [ (: 엎드릴 복) (: 슬퍼할 창) ]
  • 농와(弄瓦) : (1)'농와'의 북한어. (2)딸을 낳은 즐거움. 중국에서 딸을 낳으면 흙으로 만든 실패를 장난감으로 주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 기와 와)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