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9월 6일 일요일

호우고슬: 好竽鼓瑟

호우고슬 (好竽鼓瑟) : 피리를 좋아하는데 거문고를 연주한다는 뜻으로, 남의 비위를 제대로 맞추지 못하거나, 구하려는 것을 엉뚱하게 대처함을 이르는 말.



好竽鼓瑟 한자 뜻 풀이

  • 好(좋을 호) : 좋다, 좋아하다, 사랑함, 아름답다, 우의. 여자가 아이를 안고 '좋아한다'는 뜻으로 보거나 남녀가 서로 안고 좋아한다는 뜻으로 보기도 함
  • 竽(피리 우) : 피리, 괴수, 두목. '피리'의 의미. '于(우)'는 발음
  • 鼓(북 고) : 북, 북을 치다, 맥박(脈搏), 용량(容量)의 단위, 무게의 단위. 손에 북채를 들고 북을 치는 모양에서 '북', '북치다', '연주하다' 등의 의미 도출
  • 瑟(큰 거문고 슬) : 큰 거문고, 많은 모양, 엄숙하다, 차고 바람이 사납다, 쓸쓸하다. 역시 거문고의 종류에 큰 거문고라서 줄을 막대로 연주하는 것을 의미


[好] 좋을 호 (좋다, 좋아하다, 사랑함, 아름답다, 우의)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호사불출문악사행천리 획순 이미지 호사불출문악사행천리(好事不出門惡事行千里) : 좋은 일은 좀체로 세상(世上)에 알려지지 않으나, 나쁜 일은 이내 널리 알려짐. [ (: 좋을 호) (: 일 사) (: 아니 불) (: 날 출) (: 문 문) (: 악할 악) (: 일 사) (: 갈 행) (: 일천 천) (: 마을 리) ]
  • 탐화호색(探花好色) : 여색을 지나치게 좋아하고 밝힘. [ (: 찾을 탐) (: 꽃 화) (: 좋을 호) (: 빛 색) ]
  • 호호선생(好好先生) : 좋아하고 기뻐하는 선생이라는 뜻으로, 어떤 일이든지 '좋아 좋아'하는 사람. 후한의 사마위의 별칭. [ (: 좋을 호) (: 좋을 호) (: 먼저 선) (: 날 생) ]
  • 호승지심(好勝之心) : 남과 겨루어 이기기를 좋아하는 마음. [ (: 좋을 호) (: 이길 승) (: 갈 지) (: 마음 심) ]
  • 반양지호(潘楊之好) : 반(潘)과 양(楊)의 다정(多情)한 사이라는 뜻으로, 혼인(婚姻)으로 인척(姻戚) 관계(關係)까지 겹친 오래된 좋은 사이. [ (: 뜨물 반) (: 버들 양) (: 갈 지) (: 좋을 호) ]

[瑟] 큰 거문고 슬 (큰 거문고, 많은 모양, 엄숙하다, 차고 바람이 사납다, 쓸쓸하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호우고슬 획순 이미지 호우고슬(好竽鼓瑟) : 피리를 좋아하는데 거문고를 연주한다는 뜻으로, 남의 비위를 제대로 맞추지 못하거나, 구하려는 것을 엉뚱하게 대처함을 이르는 말. [ (: 좋을 호) (: 피리 우) (: 북 고) (: 큰 거문고 슬) ]
  • 여고금슬(如鼓琴瑟) : 거문고와 큰 거문고를 연주하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부부가 서로 화합함을 이르는 말. [ (: 같을 여) (: 북 고) (: 거문고 금) (: 큰 거문고 슬) ]
  • 금슬지락(琴瑟之樂) : '금실지락'의 원말. [ (: 거문고 금) (: 큰 거문고 슬) (: 갈 지) (: 즐거울 락) ]
  • 화여금슬(和如琴瑟) : 화합함이 마치 거문고와 큰 거문고 같다는 뜻으로, 부부 사이가 화락함을 이르는 말. [= 琴瑟]. [ (: 고를 화) (: 같을 여) (: 거문고 금) (: 큰 거문고 슬) ]

[竽] 피리 우 (피리, 괴수, 두목)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남우 획순 이미지 남우(濫竽) :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체하는 것이나 또는 실력이 없는 사람이 어떤 지위에 붙어 있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제(齊)나라 때에, 남곽이라는 사람이 생황을 불 줄 모르면서 악사(樂士)들 가운데에 끼어 있다가 한 사람씩 불게 하자 도망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 피리 우) ]
  • 호우고슬(好竽鼓瑟) : 피리를 좋아하는데 거문고를 연주한다는 뜻으로, 남의 비위를 제대로 맞추지 못하거나, 구하려는 것을 엉뚱하게 대처함을 이르는 말. [ (: 좋을 호) (: 피리 우) (: 북 고) (: 큰 거문고 슬) ]
  • 남우충수(濫竽充數) : 무능(無能)한 사람이 재능(才能)이 체하는 것이나 또는 외람되이 높은 벼슬을 차지하는 것을 말함. [ (: 피리 우) (: 찰 충) (: 셀 수) ]

[鼓] 북 고 (북, 북을 치다, 맥박(脈搏), 용량(容量)의 단위, 무게의 단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요순고설 획순 이미지 요순고설(搖脣鼓舌) : 입술을 움직이고 혀를 찬다는 뜻으로, 함부로 남을 비평한다는 의미로 활용됨. [ (: 흔들릴 요) (: 입술 순) (: 북 고) (: 혀 설) ]
  • 고무격려(鼓舞激勵) : 격려(激勵)하여 기세(氣勢)를 북돋우어 줌. [ (: 북 고) (: 춤출 무) (: 부딪쳐흐를 격) (: 힘쓸 려) ]
  • 호우고슬(好竽鼓瑟) : 피리를 좋아하는데 거문고를 연주한다는 뜻으로, 남의 비위를 제대로 맞추지 못하거나, 구하려는 것을 엉뚱하게 대처함을 이르는 말. [ (: 좋을 호) (: 피리 우) (: 북 고) (: 큰 거문고 슬) ]
  • 여고금슬(如鼓琴瑟) : 거문고와 큰 거문고를 연주하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부부가 서로 화합함을 이르는 말. [ (: 같을 여) (: 북 고) (: 거문고 금) (: 큰 거문고 슬) ]

[대처]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우문현답 획순 이미지 우문현답(愚問賢答) : 어리석은 질문에 대한 현명한 대답. [ (: 어리석을 우) (: 물을 문) (: 어질 현) (: 대답할 답) ]
  • 여리박빙(如履薄氷) : 살얼음을 밟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아슬아슬하고 위험한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같을 여) (: 밟을 리) (: 엷을 박) (: 얼음 빙) ]
  • 호우고슬(好竽鼓瑟) : 피리를 좋아하는데 거문고를 연주한다는 뜻으로, 남의 비위를 제대로 맞추지 못하거나, 구하려는 것을 엉뚱하게 대처함을 이르는 말. [ (: 좋을 호) (: 피리 우) (: 북 고) (: 큰 거문고 슬) ]

[비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호우고슬 획순 이미지 호우고슬(好竽鼓瑟) : 피리를 좋아하는데 거문고를 연주한다는 뜻으로, 남의 비위를 제대로 맞추지 못하거나, 구하려는 것을 엉뚱하게 대처함을 이르는 말. [ (: 좋을 호) (: 피리 우) (: 북 고) (: 큰 거문고 슬) ]
  • 감언이설(甘言利說) : (1)'감언이설'의 북한어. (2)귀가 솔깃하도록 남의 비위를 맞추거나 이로운 조건을 내세워 꾀는 말. [ (: 달 감) (: 말씀 언) (: 말씀 설) ]
  • 비위난정(脾胃難定) : (1)비위가 뒤집혀 가라앉지 아니함. (2)밉살스러운 꼴을 보고 마음이 아니꼬움을 이르는 말. [ (: 지라 비) (: 밥통 위) (: 어려울 난) (: 정할 정) ]
  • 기암괴석(奇巖怪石) : 모양이 독특하고 이상한 바위와 돌. [ (: 기이할 기) (: 바위 암) (: 기이할 괴) (: 돌 석) ]
  • 승망풍지(乘望風旨) : 망루에 올라 바람결을 헤아린다는 뜻으로, 남의 눈치를 보아 가며 비위를 잘 맞추어 줌을 이르는 말. [ (: 탈 승) (: 바랄 망) (: 바람 풍) (: 뜻 지) ]

[엉뚱]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호우고슬 획순 이미지 호우고슬(好竽鼓瑟) : 피리를 좋아하는데 거문고를 연주한다는 뜻으로, 남의 비위를 제대로 맞추지 못하거나, 구하려는 것을 엉뚱하게 대처함을 이르는 말. [ (: 좋을 호) (: 피리 우) (: 북 고) (: 큰 거문고 슬) ]
  • 백일몽(白日夢) : 대낮에 꿈을 꾼다는 뜻으로, 실현될 수 없는 헛된 공상을 이르는 말. [ (: 흰 백) (: 날 일) (: 꿈 몽) ]
  • 문동답서(問東答西) : 물음과는 전혀 상관없는 엉뚱한 대답. [ (: 물을 문) (: 동녘 동) (: 대답할 답) (西: 서녘 서) ]
  • 어인지공(漁人之功) : 두 사람이 이해관계로 서로 싸우는 사이에 엉뚱한 사람이 애쓰지 않고 가로챈 이익을 이르는 말. [ (: 고기잡을 어) (: 사람 인) (: 갈 지) (: 공 공) ]
  • 어망홍리(漁網鴻離) : 고기 그물을 쳤는 데 기러기가 걸렸다는 뜻으로, (1) 구(求)하려는 것은 얻지 못하고 반대(反對)로 엉뚱한 것을 얻게 되었음을 이르는 말 (2) 남의 일로 횡액을 당(當)함을 이르는 말. [ (: 고기잡을 어) (: 그물 망) (: 큰기러기 홍) (: 떠날 리) ]

[연주]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호우고슬 획순 이미지 호우고슬(好竽鼓瑟) : 피리를 좋아하는데 거문고를 연주한다는 뜻으로, 남의 비위를 제대로 맞추지 못하거나, 구하려는 것을 엉뚱하게 대처함을 이르는 말. [ (: 좋을 호) (: 피리 우) (: 북 고) (: 큰 거문고 슬) ]
  • 여고금슬(如鼓琴瑟) : 거문고와 큰 거문고를 연주하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부부가 서로 화합함을 이르는 말. [ (: 같을 여) (: 북 고) (: 거문고 금) (: 큰 거문고 슬) ]
  • 고분지통(鼓盆之痛) : 물동이를 두드리는 슬픔이라는 뜻으로, 아내가 죽은 슬픔을 이르는 말. [ (: 북 고) (: 동이 분) (: 갈 지) (: 아플 통) ]

[피리]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가정 획순 이미지 가정(柯亭) : '피리'를 달리 이르는 말. 중국 후한 때 채옹이 가정관(柯亭館)의 대나무 서까래로 피리를 만들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 (: 가지 가) (: 정자 정) ]
  • 호우고슬(好竽鼓瑟) : 피리를 좋아하는데 거문고를 연주한다는 뜻으로, 남의 비위를 제대로 맞추지 못하거나, 구하려는 것을 엉뚱하게 대처함을 이르는 말. [ (: 좋을 호) (: 피리 우) (: 북 고) (: 큰 거문고 슬) ]
  • 만파식적(萬波息笛) : 신라 때의 전설상의 피리.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전하는데, 신라 신문왕이 아버지 문무왕을 위하여 동해변에 감은사(感恩寺)를 지은 뒤, 문무왕이 죽어서 된 해룡(海龍)과 김유신이 죽어서 된 천신(天神)이 합심하여 용을 시켜서 보낸 대나무로 만들었다 하며, 이것을 불면 적병이 물러가고 병이 낫는 등 나라의 모든 근심, 걱정이 사라졌다고 한다. [ (: 일만 만) (: 물결 파) (: 숨쉴 식) (: 피리 적) ]
  • 피리양추(皮裏陽秋) : 피리(皮裏)는 피부(皮膚)의 안을 뜻하고, 양추(陽秋)는 공자(孔子)가 지은 『춘추(春秋)』를 뜻하는 말로, 사람마다 제각기 나름대로의 속셈과 분별력(分別力)이 있음을 이르는 말. [ (: 가죽 피) (: 속 리) (: 볕 양) (: 가을 추) ]
  • 총죽지교(葱竹之交) : 파피리를 불면서 죽마(竹馬)를 타고 놀던 사이라는 뜻으로, 어릴 적부터 사귄 교분(交分)을 이르는 말. [ (: 파 총) (: 대 죽) (: 갈 지) (: 사귈 교) ]

[거문고]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현가불철 획순 이미지 현가불철(絃歌不輟) : 거문고 타고 노래하는 것을 그치지 않는다는 뜻으로, 공자의 고사에서 유래되어 어려움을 당해도 학문을 계속함을 이르는 말. [ (: 악기줄 현) (: 노래 가) (: 아니 불) (: 그칠 철) ]
  • 북창삼우(北窓三友) : 거문고, 술, 시(詩)를 아울러 이르는 말. [ (: 북녘 북) (: 창 창) (: 석 삼) (: 벗 우) ]
  • 호우고슬(好竽鼓瑟) : 피리를 좋아하는데 거문고를 연주한다는 뜻으로, 남의 비위를 제대로 맞추지 못하거나, 구하려는 것을 엉뚱하게 대처함을 이르는 말. [ (: 좋을 호) (: 피리 우) (: 북 고) (: 큰 거문고 슬)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