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8월 20일 금요일

제일 좋은 무료 워드 클라우드 생성기 (멋진 이미지, 고화질 다운로드, 동영상 워드 클라우드) art.wordrow.kr

 

제일 좋은 무료 워드 클라우드 생성기룰 소개합니다.

멋진 이미지를 무료로 아주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고화질 다운로드 물론 됩니다.

오늘은 새로운 신기한 기능인 동영상 워드 클라우드를 소개할께요. 

https://art.wordrow.kr

궁금하신 분들은 이 사이트에 가서 직접 만들어 보세요. 


우선 아래 동영상 들을 보세요.

    
그냥 몇가지 단어 넣고, 생성 버튼 눌러서 나오는 결과가 마음에 들면, "동영상 다운로드"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한 3초 정도면 되더라구요.




기존에 생성한 워드 클라우드를 그대로 동영상으로 만드니까 더욱 의미 전달이 잘됩니다. 

이렇게 하트 뿅뿅하면 받는 분이 더 좋아할까요?


합격 기원도 이런식으로 만들어서 전달하면 더 정성이 있는 것 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만드는 시간은 30초도 안걸립니다. 단어넣고 모양 고르고 생성버튼 누르면 끝.






그럼 행복하세요.



2021년 8월 5일 목요일

합포지목생어호말: 合抱之木生於毫末

합포지목생어호말 (合抱之木生於毫末) : 한아름되는 나무도 싹에서 자란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은 미세(微細)한 것에서 시작(始作)됨을 이르는 말.



合抱之木生於毫末 한자 뜻 풀이

  • 合(합할 합) : 합하다, 홉, 하나가 되거나, 하나로 되게 함, 용량의 단위, 1되의 10분의 1. 밥그릇과 뚜껑이 합쳐져 있는 모양에서 '합하다'는 의미 생성
  • 抱(안을 포) : 안다, 던지다, 버림, 지키다, 받들다. 감싸 안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手(수)를 더해 명확하게 표현함. 包(포)가 발음 역할도 함
  • 之(갈 지) : 가다, 변하여 가다, 이용하다, 끼치다, 걸어가다. 대지에 풀이 돋아나 자라는 모양에서 '가다' 의미 파생. 문장 속에서 어조사로 사용되거나 대명사 역할을 하기도 함
  • 木(나무 목) : 나무, 오행(五行)의 첫째, 나무를 재료로 하여 만든 기구, 널, 고랑·차꼬 등 형구(刑具). 나무의 줄기의 가지와 뿌리까지 표현. 片(편)과 爿(장)은 나무를 자른 양쪽 반쪽으로 '조각'의 뜻이 됨
  • 生(날 생) : 나다, 낳다, 살다, 살리다, 삶. 대지에서 싹이 땅 위로 올라오는 모양을 본떠 '나다', '생겨나다' 등의 의미 생성. 후에 '살아가다'는 의미 파생
  • 於(어조사 어) : 어조사, 탄식하다, 감탄하는 소리, 아!, 있다. 문장 속 어조사 역할.{서술어+於+보어}의 구조.
  • 毫(가는 털 호) : 가는 털, 조금, 붓, 호, 길게 자란 가는 털. 길고 끝이 뾰족한 가는 털의 의미에서 '작은 것' 등의 의미 파생
  • 末(끝 말) : 끝, 지엽(枝葉), 신하, 난세(亂世), 자손. 나무의 위에 표시를 해서 뿌리의 의미인 '本(본)'의 반대 개념으로 '끝'의 의미 생성


[之] 갈 지 (가다, 변하여 가다, 이용하다, 끼치다, 걸어가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살활지권 획순 이미지 살활지권(殺活之權) : 살리고 죽일 수 있는 권리. [ (: 죽일 살) (: 살 활) (: 갈 지) (: 저울추 권) ]
  • 문경지우(刎頸之友) : 서로를 위해서라면 목이 잘린다 해도 후회하지 않을 정도의 사이라는 뜻으로, 생사를 같이할 수 있는 아주 가까운 사이, 또는 그런 친구를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인상여(藺相如)와 염파(廉頗)의 고사에서 유래하였다. [ (: 목 벨 문) (: 목 경) (: 갈 지) (: 벗 우) ]
  • 풍목지비(風木之悲) : 효도를 다하지 못한 채 어버이를 여읜 자식의 슬픔을 이르는 말. [ (: 바람 풍) (: 나무 목) (: 갈 지) (: 슬플 비) ]
  • 칠보지재(七步之才) :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을 만한 재주라는 뜻으로, 아주 뛰어난 글재주를 이르는 말. 중국 위나라의 시인 조식(曹植)이 형 조비(曹丕)의 명에 따라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 일곱 칠) (: 걸을 보) (: 갈 지) (: 재주 재) ]

[合] 합할 합 (합하다, 홉, 하나가 되거나, 하나로 되게 함, 용량의 단위, 1되의 10분의 1)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정합오의 획순 이미지 정합오의(正合吾意) : 나의 뜻에 딱 들어맞음. [ (: 바를 정) (: 합할 합) (: 나 오) (: 뜻 의) ]
  • 부부지도이성지합(夫婦之道二姓之合) : 부부(夫婦)의 도(道)는 두 성씨가 결합(結合)하는 것임. [ (: 지아비 부) (: 며느리 부) (: 갈 지) (: 길 도) (: 두 이) (: 성 성) (: 갈 지) (: 합할 합) ]
  • 진합태산(塵合泰山) : 작은 물건도 많이 모이면 큰 것이 됨. [ (: 티끌 진) (: 합할 합) (: 클 태) (: 메 산) ]
  • 양궁상합(兩窮相合) : (1)'양궁상합'의 북한어. (2)가난한 두 사람이 함께 모여 관계를 맺는다는 뜻으로, 일이 잘되지 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다할 궁) (: 서로 상) (: 합할 합) ]
  • 형제화합현처지덕(兄弟和合賢妻之德) : 형과 아우가 화합(和合)한 것은 어진 아내의 덕임. [ (: 맏 형) (: 아우 제) (: 고를 화) (: 합할 합) (: 어질 현) (: 아내 처) (: 갈 지) (: 덕 덕) ]

[抱] 안을 포 (안다, 던지다, 버림, 지키다, 받들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포통서하 획순 이미지 포통서하(抱痛西河) : 서하에서 고통을 품는다는 뜻으로, 공자의 제자 자하(子夏)가 서하에 있을 때, 그의 아들을 잃고 너무 비통한 나머지 실명한 고사에서 유래되어 자식을 잃고 슬퍼하는 일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 (: 안을 포) (: 아플 통) (西: 서녘 서) (: 강 이름 하) ]
  • 포탄희량(抱炭希凉) : 숯불을 안고 서늘하기를 바란다는 뜻으로, 행동(行動)과 목적(目的)이 상치됨을 이르는 말. [ (: 안을 포) (: 숯 탄) (: 바랄 희) (: 서늘할 량) ]
  • 해의포화(解義抱火) : 옷을 벗고 불을 안는다는 뜻으로, 재난(災難)을 자초함을 이르는 말. [ (: 풀 해) (: 옳을 의) (: 안을 포) (: 불 화) ]
  • 포탄희량(抱炭希涼) : 불을 끼고 있으면서 시원하기를 바란다는 뜻으로, 하는 일과 바라는 일이 일치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 (: 안을 포) (: 숯 탄) (: 바랄 희) (: 서늘할 량) ]
  • 포복(抱腹) : (1)배를 그러안음. (2)배를 그러안고 넘어질 정도로 몹시 웃음. [ (: 안을 포) (: 배 복) ]

[於] 어조사 어 (어조사, 탄식하다, 감탄하는 소리, 아!, 있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가정맹어호 획순 이미지 가정맹어호(苛政猛於虎) : 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무섭다는 뜻으로, 몹시 모질고 독한 정치의 폐가 큼을 이르는 말. ≪예기≫의 〈단궁편(檀弓篇)〉에 나오는 말이다. [ (: 매울 가) (: 정사 정) (: 사나울 맹) (: 어조사 어) (: 범 호) ]
  • 지어지처(止於止處) : (1)일정하게 머무르는 곳이 없고 정처 없이 어디든지 이르는 곳에서 머물러 잠. (2)일이나 행동을 마땅히 그쳐야 할 자리에서 알맞게 그침. [ (: 그칠 지) (: 어조사 어) (: 그칠 지) (: 머무를 처) ]
  • 어차어피(於此於彼) : 이렇게 하든지 저렇게 하든지. 또는 이렇게 되든지 저렇게 되든지. [ (: 어조사 어) (: 이 차) (: 어조사 어) (: 저 피) ]
  • 어천만사(於千萬事) : 모든 일. [ (: 어조사 어) (: 일천 천) (: 일만 만) (: 일 사) ]
  • 어이아이(於異阿異) : '어 다르고 아 다르다'는 우리말 속담의 한역(漢譯)으로, 같은 말이라도 어떻게 표현하는가에 따라 상대가 받아들이는 기분이 다를 수 있다는 의미나, 항상 말을 조심해서 해야한다는 의미. [ (: 어조사 어) (: 다를 이) (: 언덕 아) (: 다를 이) ]

[木] 나무 목 (나무, 오행(五行)의 첫째, 나무를 재료로 하여 만든 기구, 널, 고랑·차꼬 등 형구(刑具))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풍목지비 획순 이미지 풍목지비(風木之悲) : 효도를 다하지 못한 채 어버이를 여읜 자식의 슬픔을 이르는 말. [ (: 바람 풍) (: 나무 목) (: 갈 지) (: 슬플 비) ]
  • 원공방목(圓孔方木) : 둥근 구멍에 모난 막대기라는 뜻으로, 사물이 서로 맞지 않음을 이르는 말. [ (: 둥글 원) (: 구멍 공) (: 모 방) (: 나무 목) ]
  • 초목구후(草木俱朽) : 초목과 함께 썩는다는 뜻으로, 세상에 이름을 남기지 못하고 죽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풀 초) (: 나무 목) (: 함께 구) (: 썩을 후) ]
  • 원목경침(圓木警枕) : 둥근 나무로 만든 경계하는 베개라는 뜻으로, 둥근 목침으로 베개가 굴러 잠에서 깨도록 만든 것인데, 고학(苦學)을 비유해서 이르는 말로 사용됨. [ (: 둥글 원) (: 나무 목) (: 경계할 경) (: 베개 침) ]
  • 독목불성림(獨木不成林) : 홀로 선 나무는 숲을 이루지 못한다는 뜻으로, 여럿이 힘을 합쳐야 일이 된다는 의미(意味). [ (: 홀로 독) (: 나무 목) (: 아니 불) (: 이룰 성) (: 수풀 림) ]

[末] 끝 말 (끝, 지엽(枝葉), 신하, 난세(亂世), 자손)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호말위구산 획순 이미지 호말위구산(毫末爲丘山) : 터럭 끝이 언덕 산이 된다는 뜻으로, 지극히 작은 것도 쌓이면 산도 될 수 있다는 의미. [ (: 가는 털 호) (: 끝 말) (: 할 위) (: 언덕 구) (: 메 산) ]
  • 덕본재말(德本財末) : 사람이 살아가는 데 덕(德)이 뿌리가 되고 재물(財物)은 사소(些少)한 부분(部分)임. [ (: 덕 덕) (: 밑 본) (: 재물 재) (: 끝 말) ]
  • 세강속말(世降俗末) : 세상이 그릇되어 풍속이 어지러움. [ (: 인간 세) (: 내릴 강) (: 풍속 속) (: 끝 말) ]
  • 미관말직(微官末職) : 지위가 아주 낮은 벼슬. 또는 그런 위치에 있는 사람. [ (: 작을 미) (: 벼슬 관) (: 끝 말) (: 벼슬 직) ]
  • 말여지하(末如之何) : 아주 엉망이 되어서 어찌할 도리가 없음. [ (: 끝 말) (: 같을 여) (: 갈 지) (: 어찌 하) ]

[毫] 가는 털 호 (가는 털, 조금, 붓, 호, 길게 자란 가는 털)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호말위구산 획순 이미지 호말위구산(毫末爲丘山) : 터럭 끝이 언덕 산이 된다는 뜻으로, 지극히 작은 것도 쌓이면 산도 될 수 있다는 의미. [ (: 가는 털 호) (: 끝 말) (: 할 위) (: 언덕 구) (: 메 산) ]
  • 호리(毫釐) : (1)자나 저울눈의 호(毫)와 이(釐). (2)매우 적은 분량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가는 털 호) (: 다스릴 리) ]
  • 호발부동(毫髮不動) : 조금도 움직이지 아니함. [ (: 가는 털 호) (: 터럭 발) (: 아닌가 부) (: 움직일 동) ]
  • 합포지목생어호말(合抱之木生於毫末) : 한아름되는 나무도 싹에서 자란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은 미세(微細)한 것에서 시작(始作)됨을 이르는 말. [ (: 합할 합) (: 안을 포) (: 갈 지) (: 나무 목) (: 날 생) (: 어조사 어) (: 가는 털 호) (: 끝 말) ]

[生] 날 생 (나다, 낳다, 살다, 살리다, 삶)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재생지인 획순 이미지 재생지인(再生之人) : 죽을 고비를 겪은 사람. [ (: 두 재) (: 날 생) (: 갈 지) (: 사람 인) ]
  • 살생유택(殺生有擇) : 세속 오계의 하나. 살생하는 데에 가림이 있다는 뜻으로, 살생을 함부로 하지 말고 가려서 해야 함을 이른다. [ (: 죽일 살) (: 날 생) (: 있을 유) (: 가릴 택) ]
  • 전처소생(前妻所生) : 전처의 몸에서 난 자식. [ (: 앞 전) (: 아내 처) (: 바 소) (: 날 생) ]
  • 억만창생(億萬蒼生) : 수많은 백성. [ (: 억 억) (: 일만 만) (: 푸를 창) (: 날 생) ]
  • 견물생심(見物生心) : 어떠한 실물을 보게 되면 그것을 가지고 싶은 욕심이 생김. [ (: 볼 견) (: 만물 물) (: 날 생) (: 마음 심) ]

[싹]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초목노생 획순 이미지 초목노생(草木怒生) : 봄이 되어 초목이 싱싱하게 싹이 틈. [ (: 풀 초) (: 나무 목) (: 성낼 노) (: 날 생) ]
  • 합포지목생어호말(合抱之木生於毫末) : 한아름되는 나무도 싹에서 자란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은 미세(微細)한 것에서 시작(始作)됨을 이르는 말. [ (: 합할 합) (: 안을 포) (: 갈 지) (: 나무 목) (: 날 생) (: 어조사 어) (: 가는 털 호) (: 끝 말) ]
  • 두점방맹(杜漸防萌) : 점(漸)은 사물(事物)의 처음. 맹(萌)은 싹. 애시당초 싹이 나오지 못하도록 막는다는 뜻으로, 곧 좋지 못한 일의 조짐(兆朕)이 보였을 때 즉시(卽時) 그 해(害)로운 것을 제거(除去)해야 더 큰 해(害)가 되지 않는다는 의미(意味). [ (: 팥배나무 두) (: 점점 점) (: 둑 방) (: 싹틀 맹) ]
  • 알묘(揠苗) : 곡식의 싹을 뽑아 올린다는 뜻으로, 성공을 서두르다가 도리어 해를 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뽑을 알) (: 모 묘) ]
  • 호모부가(毫毛斧柯) : (1)어린싹을 뽑아 버리지 않으면 마침내 큰 나무가 된다는 뜻으로, 화근(禍根)은 크기 전에 없애야 함을 이르는 말. (2)나쁜 버릇은 어릴 때 고쳐야 함을 이르는 말. [ (: 가는 털 호) (: 털 모) (: 도끼 부) (: 가지 가) ]

[나무]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상조협수 획순 이미지 상조협수(上早莢樹) : 조협나무에 오른다는 뜻으로, 공처가를 이르는 말. [ (: 위 상) (: 일찍 조) (: 열매 협) (: 나무 수) ]
  • 원공방목(圓孔方木) : 둥근 구멍에 모난 막대기라는 뜻으로, 사물이 서로 맞지 않음을 이르는 말. [ (: 둥글 원) (: 구멍 공) (: 모 방) (: 나무 목) ]
  • 신진화멸(薪盡火滅) : 나무가 다 타서 없어지고 불이 꺼졌다는 뜻으로, 사람의 죽음이나 사물의 멸망을 이르는 말. [ (: 섶나무 신) (: 다할 진) (: 불 화) (: 멸망할 멸) ]
  • 단사표음(簞食瓢飮) : 대나무로 만든 밥그릇에 담은 밥과 표주박에 든 물이라는 뜻으로, 청빈하고 소박한 생활을 이르는 말. [ (: 대광주리 단) (: 밥 사) (: 박 표) (: 마실 음) ]
  • 무우수(無憂樹) : '보리수'를 달리 이르는 말. 마야 부인이 보리수 아래에서 싯다르타 태자를 안산하여 근심할 것이 없었다 하여 이렇게 이른다. [ (: 없을 무) (: 근심 우) (: 나무 수) ]

[미세]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토양세류 획순 이미지 토양세류(土壤細流) : 작은 흙덩이와 가느다란 시내라는 뜻으로, 미세한 것도 이것을 쌓으면 큰 것이 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 흙 토) (: 흙 양) (: 가늘 세) (: 흐를 류) ]
  • 검수일혈(劍首一吷) : 바람이 칼자루 끝에 있는 작은 구멍을 스쳐가는 미세한 소리라는 뜻으로, 들어 둘 만한 가치가 없음을 이르는 말. [ (: 칼 검) (: 머리 수) (: 한 일) (: 작은 소리 혈) ]
  • 충비서간(蟲臂鼠肝) : 벌레의 팔과 쥐의 간이라는 뜻으로, 쓸모없고 하찮은 사람이나 물건을 이르는 말. [ (: 벌레 충) (: 팔 비) (: 쥐 서) (: 간 간) ]
  • 합포지목생어호말(合抱之木生於毫末) : 한아름되는 나무도 싹에서 자란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은 미세(微細)한 것에서 시작(始作)됨을 이르는 말. [ (: 합할 합) (: 안을 포) (: 갈 지) (: 나무 목) (: 날 생) (: 어조사 어) (: 가는 털 호) (: 끝 말) ]

[사물]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거기부정 획순 이미지 거기부정(擧棋不定) : 바둑을 두는 데 포석(布石)할 자리를 결정(決定)하지 않고 둔다면 한 집도 이기기 어렵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을 명확(明確)한 방침(方針)이나 계획(計劃)을 갖지 않고 대함을 의미(意味). [ (: 들 거) (: 바둑 기) (: 아닌가 부) (: 정할 정) ]
  • 박인방증(博引旁證) : 널리 예(例)를 인용하고 두루 증거를 보여 논함. [ (: 넓을 박) (: 당길 인) (: 곁 방) (: 증거 증) ]
  • 원공방목(圓孔方木) : 둥근 구멍에 모난 막대기라는 뜻으로, 사물이 서로 맞지 않음을 이르는 말. [ (: 둥글 원) (: 구멍 공) (: 모 방) (: 나무 목) ]
  • 신진화멸(薪盡火滅) : 나무가 다 타서 없어지고 불이 꺼졌다는 뜻으로, 사람의 죽음이나 사물의 멸망을 이르는 말. [ (: 섶나무 신) (: 다할 진) (: 불 화) (: 멸망할 멸) ]
  • 확연대공(廓然大公) : 거리낌 없어 탁 트여 크게 공변되다는 뜻으로, 널리 모든 사물에 사심이 없이 공평함을 의미하는 성인의 마음을 배우는 군자의 학문하는 태도를 이르는 말. [ (: 클 확) (: 그러할 연) (: 큰 대) (: 공변될 공) ]

[시작]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야이계주 획순 이미지 야이계주(夜以繼晝) : 어떤 일에 몰두하여 조금도 쉴 사이 없이 밤낮을 가리지 아니함. [ (: 밤 야) (: 써 이) (: 이을 계) (: 낮 주) ]
  • 만리장성(萬里長城) : (1)중국의 북쪽에 있는 성. 서쪽 간쑤성(甘肅省)의 자위관(嘉峪關)에서 시작하여 동쪽 허베이성(河北省)의 산하이관(山海關)에 이른다. 춘추 전국 시대의 조(趙)ㆍ연(燕) 등이 변경 방위를 위하여 쌓아서 만든 것을 진(秦)의 시황제가 크게 증축하여 완성하였다. 지금 남아 있는 것은 명나라가 몽골의 침입에 대비하여 쌓은 것이다. 길이는 2,700km. (2)서로 넘나들지 못하게 가로막는 크고 긴 장벽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창창한 앞날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남녀가 서로 교합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일만 만) (: 마을 리) (: 길 장) (: 성 성) ]
  • 비조(鼻祖) : (1)나중 것의 바탕이 된 맨 처음의 것. (2)한 겨레나 가계의 맨 처음이 되는 조상. (3)어떤 학문이나 기술 따위를 처음으로 연 사람. [ (: 코 비) (: 할아비 조) ]
  • 창업수성(創業守成) : 나라를 세우는 일과 이를 지켜 나가는 일이라는 뜻으로, 일을 시작하는 것은 쉽지만 이룬 것을 지키는 것은 어려움을 이르는 말. [ (: 비롯할 창) (: 업 업) (: 지킬 수) (: 이룰 성) ]
  • 기호지세(騎虎之勢) : 호랑이를 타고 달리는 형세라는 뜻으로, 이미 시작한 일을 중도에서 그만둘 수 없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말 탈 기) (: 범 호) (: 갈 지) (: 기세 세) ]

[아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경지옥엽 획순 이미지 경지옥엽(瓊枝玉葉) : (1)옥으로 된 가지와 잎이라는 뜻으로, 임금의 가족을 높여 이르는 말. (2)귀한 자손을 이르는 말. [ (: 옥 경) (: 가지 지) (: 구슬 옥) (: 잎 엽) ]
  • 금수강산(錦繡江山) : 비단에 수를 놓은 것처럼 아름다운 산천이라는 뜻으로, 우리나라의 산천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비단 금) (: 수 수) (: 강 강) (: 메 산) ]
  • 금성옥진(金聲玉振) : (1)시가(詩歌)나 음악의 아름다운 가락. (2)사물을 집대성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금은 종(鐘), 옥은 경(磬)을 뜻하는 것으로, 팔음(八音)을 합주할 때에 종을 쳐서 시작하고 마지막에 경을 치는 데서 유래한다. (3)지(智)와 덕(德)을 아울러 갖춘 상태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사상이나 언론이 세상에 널리 알려져 존중받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쇠 금) (: 소리 성) (: 구슬 옥) (: 떨칠 진) ]
  • 백태구비(百態具備) : 온갖 아름다운 자태(姿態)가 다 갖추어져 있음. [ (: 일백 백) (: 모양 태) (: 갖출 구) (: 갖출 비) ]
  • 정금양옥(精金良玉) : 정교하게 다듬은 금과 아름다운 옥이라는 뜻으로, 인품이나 시문이 맑고 아름다움을 이르는 말. [ (: 정미할 정) (: 쇠 금) (: 구슬 옥)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